北 잘못땐 상응한 징벌 줘야…中 올해는 대규모 원조 안해
수정 2013-05-23 00:12
입력 2013-05-23 00:00
中 관변학자 뤼차오 인터뷰
“중국이 중·북관계를 정상적인 국가 대 국가의 관계로 전환하고 있다.”
뤼 주임은 “중국 외교는 ‘주변 안정’을 중시하고 있고, 한반도 안정은 주변 안정과 중국 동북아 경제 건설을 위해 중요한 문제”라면서 “북한과의 특수 관계에서 벗어나 주변을 안정시켜야 한다는 목표가 보다 뚜렷해졌다”고 설명했다. ‘통일 한국’도 중국의 ‘주변 안정’ 정책에 포함된다는 점에서 중국은 한국의 통일을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국은 이제 북한이 잘못하면 그에 상응한 징벌을 줘야 한다고 본다”면서 “올 들어 중국에서 민간과 지방정부 차원의 소규모 대북 원조는 있었지만 전과 같은 대규모 지원은 없었다”고 말했다. 이날 북한 최룡해 인민군 총정치국장이 김정은 특사 신분으로 방중한 것도 이 같은 중국의 태도 변화를 체감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북한은 과거 도발 시 징벌 대신 보상을 받았던 것과 달리 지난해 12월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중국이 제재에 동참한 뒤 중국을 포함한 한·미·러·일 등 관련국으로부터 아무런 지원도 받지 못하는 등 막다른 골목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특사 신분인 최룡해 국장은 이번 방중에서 향후 북한이 그동안 경제 건설에 나서달라는 중국의 뜻을 수용할 의사가 있다는 점을 전달할 가능성이 높다고 점쳤다.
뤼 주임은 그러나 “중국이 북한의 잘못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한다는 방침이 북한을 고도로 제재해 생명줄을 끊겠다는 뜻은 아니다”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3-05-2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