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제안할 듯

이현정 기자
수정 2018-04-25 23:47
입력 2018-04-25 22:24
남북 정상, 각본 없는 회담 준비
연락사무소 장소 판문점 가능성회담 정례화·이산상봉 제의 검토
‘각본 없는 드라마’인 남북 정상회담 무대에 오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회담 전날인 26일 불면의 밤을 보낼 것으로 보인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적극적으로 내비쳐 출발은 일단 순조롭지만, 정작 회담장 안에서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몰라 청와대는 바짝 긴장하고 있다. 청와대는 이날 “남북 정상회담 의제 보도는 남북 간 협의와 회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여권 관계자나 정부 소식통 이름으로 보도하는 것을 자제해 달라”고 공지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회담에서 김 위원장에게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두는 방안을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공동사무소는 한반도 긴장완화 등을 위해 충분히 좋은 일이라고 본다”며 “서울이나 평양보다는 판문점일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한반도 비핵화와 종전선언, 남북관계 개선 등 3대 의제 외에 남북 정상회담 정례화,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올해 8·15 기념행사를 남북한이 함께 치르는 방안 등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중동 행보를 보이는 문 대통령과 달리 한동안 잠행하던 김 위원장은 분주하게 공개 행보를 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최근 북한에서 발생한 중국인 관광객 교통사고 사망 사건으로 김 위원장이 북한 주재 중국대사관을 찾아가 위로하고 같은 날 저녁에는 입원한 부상자들을 찾았다고 보도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8-04-2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