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마솥 더위에 “원룸 쓰레기 냄새 싫어”…쓰레기 외주 서비스 찾는 나홀로족[취중생]
김우진 기자
수정 2024-08-08 09:00
입력 2024-08-08 09:00
1994년 성수대교가 무너졌을 때 가장 먼저 현장에 도착한 기자가 있습니다. 삼풍백화점이 무너졌을 때도, 세월호 참사 때도 그랬습니다. 사회부 사건팀 기자들입니다. 시대도 세대도 바뀌었지만, 취재수첩에 묻은 꼬깃한 손때는 그대롭니다. 기사에 실리지 않은 취재수첩 뒷장을 공개합니다.
빌라에 혼자 사는 박모(31)씨는 지난달부터 ‘쓰레기 수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어떤 쓰레기든 봉투에 담아 문 앞에 두기만 하면 다음날 아침까지 업체가 수거해가는 서비스입니다. 재활용품을 일일이 분리 배출할 필요도 없고, 요즘 같은 찜통더위에 더 빨리 부패하는 쓰레기 때문에 집 안에 냄새가 진동할 일도 없습니다.
소형 전자기기, 다 쓰지 않은 화장품 등 어떤 쓰레기든 세척도, 분리도 하지 않고 봉투에 담기만 하면 됩니다. 이런 쓰레기 수거 서비스는 보통 한번 수거할 때마다 2500원 정도의 기본요금을 내야 합니다. 또 쓰레기 종류와 관계없이 100g당 130~150원의 요금이 매겨집니다. 1kg의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 약 3900원 정도를 내는 셈입니다. 10ℓ 쓰레기 종량제 봉투가 250원 정도라는 점을 감안하면, 10배가 넘는 비용을 더 내는 것입니다.
박씨는 “혼자 살아서 쓰레기가 적게 나오는데 분리배출 요일을 맞추려면 어느 정도 기간동안 재활용품 쓰레기는 집 안에 둬야 한다. 불쾌한 냄새가 날 수밖에 없다”며 “쓰레기를 분류하고 버리는 시간이 절약돼 앞으로도 쓰레기 수거 서비스를 정기적으로 이용하려 한다”고 전했습니다.
박씨처럼 쓰레기 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는 나홀로 가구는 최근 늘고 있다고 합니다. 모바일 빅데이터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쓰레기 처리를 대행해주는 A업체는 지난 1월 기준 월간 사용자 수가 4615명에 그쳤지만 지난달에는 1만명을 넘었습니다. B업체도 최근까지만 해도 일간 사용자 수가 300명을 넘기지 못해 통계에도 잡히지 않았지만, 지난달에는 월간 사용자 수가 6892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자취생 김모(25)씨는 “간단한 요리밖에 안 하다 보니 작은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채우는 데만 한 달은 걸린다”며 “날도 더워져 집 안에 쓰레기를 두면 불쾌한 냄새가 나는데 무엇이든 모아서 한 번에 버릴 수 있으니 편리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서비스가 호응을 얻는 이유는 1인 가구가 주로 거주하는 다가구 주택, 단독 주택, 오피스텔 등에는 쓰레기 분리배출 시설이 잘 갖춰져 있지 않은 것도 한몫합니다. 행정안전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1인 가구의 아파트 거주 비중은 전체 평균보다 18.3%포인트 낮습니다. 1인 가구의 경우 재활용품을 분리배출 하고 싶어도 현실적으로 제대로 할 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경우도 적잖다는 얘기입니다.
시중에서 구매할 수 있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도 2~4인 가구를 위한 크기가 대부분입니다. 1인 가구가 이런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다 채우려면 꽤 시간이 걸립니다. 불쾌한 냄새가 좁은 방안에 진동하고, 벌레가 들끓을 수도 있습니다. 결국 종량제 봉투를 다 채우지 못하고 버리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요즘 같은 날씨엔 하루 이틀만 방치해도 악취를 견디기 힘듭니다.
김윤태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크기나 재활용품 분리배출 등이 3~4인 가구 기준에 맞춰져 있다”며 “돈을 주고 쓰레기 처리를 맡기는 서비스가 인기를 끄는 것은 그만큼 지금의 시스템이 1인 가구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의미”라고 말했습니다.
김우진 기자
소형 전자기기, 다 쓰지 않은 화장품 등 어떤 쓰레기든 세척도, 분리도 하지 않고 봉투에 담기만 하면 됩니다. 이런 쓰레기 수거 서비스는 보통 한번 수거할 때마다 2500원 정도의 기본요금을 내야 합니다. 또 쓰레기 종류와 관계없이 100g당 130~150원의 요금이 매겨집니다. 1kg의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 약 3900원 정도를 내는 셈입니다. 10ℓ 쓰레기 종량제 봉투가 250원 정도라는 점을 감안하면, 10배가 넘는 비용을 더 내는 것입니다.
박씨처럼 쓰레기 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는 나홀로 가구는 최근 늘고 있다고 합니다. 모바일 빅데이터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쓰레기 처리를 대행해주는 A업체는 지난 1월 기준 월간 사용자 수가 4615명에 그쳤지만 지난달에는 1만명을 넘었습니다. B업체도 최근까지만 해도 일간 사용자 수가 300명을 넘기지 못해 통계에도 잡히지 않았지만, 지난달에는 월간 사용자 수가 6892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자취생 김모(25)씨는 “간단한 요리밖에 안 하다 보니 작은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채우는 데만 한 달은 걸린다”며 “날도 더워져 집 안에 쓰레기를 두면 불쾌한 냄새가 나는데 무엇이든 모아서 한 번에 버릴 수 있으니 편리하다”고 말했습니다.
시중에서 구매할 수 있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도 2~4인 가구를 위한 크기가 대부분입니다. 1인 가구가 이런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다 채우려면 꽤 시간이 걸립니다. 불쾌한 냄새가 좁은 방안에 진동하고, 벌레가 들끓을 수도 있습니다. 결국 종량제 봉투를 다 채우지 못하고 버리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요즘 같은 날씨엔 하루 이틀만 방치해도 악취를 견디기 힘듭니다.
김윤태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크기나 재활용품 분리배출 등이 3~4인 가구 기준에 맞춰져 있다”며 “돈을 주고 쓰레기 처리를 맡기는 서비스가 인기를 끄는 것은 그만큼 지금의 시스템이 1인 가구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의미”라고 말했습니다.
김우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