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철 “위증죄 처벌보다 靑 요청이 더 무서워 말 못했다”
이슬기 기자
수정 2017-01-23 21:24
입력 2017-01-23 21:24

연합뉴스
또한 국회에서도 ‘자발적이었다’고 말한 이유에 대해서는 위증죄 처벌보다도 청와대의 요청이 더 무서웠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 부회장은 23일 오후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작년 7월부터 9월까지 미르재단 관련 보도가 나오자 9월 말경 청와대로부터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했다고 이야기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를 지시한 것은 안종범 전 청와대 경제수석이었다고 한다. 따로 박 대통령이나 청와대 결정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 부회장은 국회에서도 참여 기업이 자발적이었다고 말한 이유가 위증죄로 처벌받을 수 있지만, 청와대 요청이 더 무서웠기 때문이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그는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은 기업들의 의견을 모아 한 것이고 자발적인 형태로 이뤄졌다고 작년 국정감사에서 답변한 바 있다.
이후 검찰 조사에서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이 청와대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진술을 변경한 이유에 대해서는 “자괴감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검찰에 갈 때 쯤에는 이미 검찰이 대부분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있어 언론 인터뷰 내용을 유지하지 않고 사실대로 진술하게 됐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