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정체성 떠나 나라 지키는 군인으로 남고 싶어… 끝까지 싸울 것”
김정화 기자
수정 2020-01-23 09:32
입력 2020-01-22 22:24
얼굴·실명 공개한 변희수 하사
“10대부터 꿈꿔… 부사관 특성화고 진학”육군, 소속여단 “복무적합” 의견도 외면
/
8
-
[수정본] 찡그린 변희수 하사 “부당한 전역 처분에 행정 소송할 것”휴가 중 해외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돌아온 육군 부사관 A하사가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 군인권센터에서 군의 전역 결정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육군은 휴가 중 해외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돌아온 부사관 A하사에 대해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이날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뉴스1 -
굳은 표정으로 회견장 나서는 변희수 하사휴가 중 해외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돌아온 육군 부사관 변희수 하사가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 군인권센터에서 군의 전역 결정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마친 후 회견장을 나서고 있다.
육군은 휴가 중 해외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돌아온 부사관 변 하사에 대해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이날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
뉴스1 -
기자회견 참석한 변희수 부사관성전환 수술을 받은 뒤 강제 전역 판정을 받은 변희수 부사관이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육군은 22일 변 하사의 전역심사위원회를 열고 “군인사법 등 관계 법령상의 기준에 따라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며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
연합뉴스 -
취재진 앞에 선 변희수 하사휴가 중 해외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돌아온 육군 부사관 변희수 하사가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 군인권센터에서 군의 전역 결정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0.1.22/뉴스1 -
‘눈물의 경례’성전환 수술을 받은 뒤 강제 전역 판정을 받은 변희수 부사관이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군의 강제 전역 조치에 대한 입장을 밝힌 뒤 눈물을 흘리며 경례하고 있다.
육군은 22일 변 하사의 전역심사위원회를 열고 “군인사법 등 관계 법령상의 기준에 따라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며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
연합뉴스 -
변희수 하사 ‘어릴때부터 군인이 꿈.. 여군으로 남고싶다’휴가 중 해외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돌아온 육군 부사관 변희수 하사가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 군인권센터에서 군의 전역 결정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0.1.22/뉴스1 -
강제 전역 조치에 대한 ‘눈물의 호소’최근 성전환 수술을 받은 뒤 강제 전역 판정을 받은 변희수 부사관이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군의 강제 전역 조치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육군은 22일 변 하사의 전역심사위원회를 열고 “군인사법 등 관계 법령상의 기준에 따라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며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
연합뉴스 -
눈물 흘리며 경례하는 변희수 부사관성전환 수술을 받은 뒤 강제 전역 판정을 받은 변희수 부사관이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군의 강제 전역 조치에 대한 입장을 밝힌 뒤 눈물을 흘리며 경례하고 있다.
육군은 22일 변 하사의 전역심사위원회를 열고 “군인사법 등 관계 법령상의 기준에 따라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며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
연합뉴스 -
[수정본] 찡그린 변희수 하사 “부당한 전역 처분에 행정 소송할 것”휴가 중 해외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돌아온 육군 부사관 A하사가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 군인권센터에서 군의 전역 결정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육군은 휴가 중 해외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돌아온 부사관 A하사에 대해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이날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뉴스1 -
굳은 표정으로 회견장 나서는 변희수 하사휴가 중 해외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돌아온 육군 부사관 변희수 하사가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 군인권센터에서 군의 전역 결정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마친 후 회견장을 나서고 있다.
육군은 휴가 중 해외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돌아온 부사관 변 하사에 대해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이날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
뉴스1 -
기자회견 참석한 변희수 부사관성전환 수술을 받은 뒤 강제 전역 판정을 받은 변희수 부사관이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다.
육군은 22일 변 하사의 전역심사위원회를 열고 “군인사법 등 관계 법령상의 기준에 따라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며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
연합뉴스 -
취재진 앞에 선 변희수 하사휴가 중 해외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돌아온 육군 부사관 변희수 하사가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 군인권센터에서 군의 전역 결정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0.1.22/뉴스1 -
‘눈물의 경례’성전환 수술을 받은 뒤 강제 전역 판정을 받은 변희수 부사관이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군의 강제 전역 조치에 대한 입장을 밝힌 뒤 눈물을 흘리며 경례하고 있다.
육군은 22일 변 하사의 전역심사위원회를 열고 “군인사법 등 관계 법령상의 기준에 따라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며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
연합뉴스 -
변희수 하사 ‘어릴때부터 군인이 꿈.. 여군으로 남고싶다’휴가 중 해외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돌아온 육군 부사관 변희수 하사가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 군인권센터에서 군의 전역 결정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0.1.22/뉴스1 -
강제 전역 조치에 대한 ‘눈물의 호소’최근 성전환 수술을 받은 뒤 강제 전역 판정을 받은 변희수 부사관이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군의 강제 전역 조치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육군은 22일 변 하사의 전역심사위원회를 열고 “군인사법 등 관계 법령상의 기준에 따라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며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
연합뉴스 -
눈물 흘리며 경례하는 변희수 부사관성전환 수술을 받은 뒤 강제 전역 판정을 받은 변희수 부사관이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군의 강제 전역 조치에 대한 입장을 밝힌 뒤 눈물을 흘리며 경례하고 있다.
육군은 22일 변 하사의 전역심사위원회를 열고 “군인사법 등 관계 법령상의 기준에 따라 계속 복무할 수 없는 사유에 해당한다”며 전역을 결정했다. 2020.1.22
연합뉴스
이날 시민단체 군인권센터가 연 기자회견에 군복을 입고 참석한 변 하사는 얼굴과 실명, 소속을 공개했다. 그는 복받치는 서러움을 겨우 참아내면서도 “모든 성소수자 군인이 차별받지 않는 환경에서 각자 임무를 수행하면 좋겠다”며 꿋꿋이 소신을 밝혔다.
변 하사는 어릴 때부터 간절히 군인을 꿈꿨다. 그는 “10대 시절 독도 문제 관련 일본 규탄 집회, 북한 인권 집회에 참석하면서 조국을 위해 희생하고 싶다는 꿈이 생겼다”고 말했다. 집 근처 인문계고 진학을 거부하고 전남 장성의 부사관 특성화고를 선택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하지만 마음속 깊은 곳은 늘 어지러웠다. 머리로는 여성이라고 느끼지만, 신체는 남성인 자신의 성정체성 때문이다. 복무 이후 줄곧 극심한 우울증과 스트레스를 겪으며 폐쇄병동을 쓸 정도로 증세가 심각했던 변 하사는 결국 호르몬 치료를 받으며 수술을 결심했다. 변 하사는 “2018년 4월부터 국군수도병원에서 치료와 상담을 받으면서 ‘마음에 있던 짐을 쌓아 두지 말고 적극적으로 해결하라’는 조언을 들었다”면서 “계속 억눌러 둔 마음을 똑바로 마주 보고, 성별 정정 과정을 거치겠다고 마음먹었다”고 말했다.
군은 그러나 여군으로 끝까지 복무하고 싶다는 그의 희망을 산산조각 냈다. 변 하사는 “전역심사위 결정 이후 주임원사가 전화해 ‘지켜 주지 못해 미안하다’고 하더라”라면서 “소속 여단에서도 제가 계속 복무하는 게 적합하다는 답변까지 올린 것으로 안다. 그런데도 육군 본부는 성전환자에 대한 고민 없이 단순히 신체 훼손 기준으로만 전역 심사를 했다”고 말했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20-01-2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