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성 제논’ 북 핵실험 5일 만에 검출…원안위 “유입 경로 확인 중”
오세진 기자
수정 2017-09-08 19:31
입력 2017-09-08 19:31
![北 풍계리 핵실험장 주변 대규모 산사태 흔적 北 풍계리 핵실험장 주변 대규모 산사태 흔적](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9/07/SSI_20170907005036_O2.jpg)
제논-133이 검출된 시점은 북한이 핵실험을 한 지 5일만으로, 검출된 양은 세제곱미터당 0.43 밀리베크렐(0.43 mBq/㎥)이다.
원소번호가 54인 제논은 평상시에 공기 중에 미량이 존재하는 불활성 기체로, 동위원소의 원자량은 124∼136으로 다양하다. 이 중 원자량 125, 127, 133, 135인 네 종류의 제논 동위원소는 자연 상태에서 발견되지 않기에 이런 인공동위원소들이 탐지되면 핵실험이 있었다는 증거가 된다.
제논의 인공동위원소 여러 종류가 한꺼번에 탐지되면 핵실험 여부뿐만 아니라 핵실험이 어떤 방식으로 이뤄졌는지에 대해서도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원안위는 기류 분석 등을 통해 이번에 검출된 제논의 유입 경로를 확인 중이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이동식 포집 결과와 함께 종합 분석해 북한 핵실험과 연관성이 있는지 최종 판단을 내릴 예정이다. 아직까지는 제논-133만 미량 탐지된 상태다.
원안위는 또 우리나라 전 국토 환경방사선 준위는 평상시 수준인 시간당 50∼300 나노시버트(50∼300 nSv/h)를 유지하고 있다면서 이번에 포집된 방사성 제논이 우리 국토와 국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없다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