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바뀐 동북아 외교 지형도] 관계 개선 전망… 북핵 해결 큰 틀에선 일치 ‘기대감’
수정 2013-01-01 00:40
입력 2013-01-01 00:00
한·중 관계
중국은 특히 박 당선인이 남북 간 대화 창구를 차단해 버린 이 대통령과 달리 남북 대화와 인도적 차원의 대북 지원 의사를 표명한 만큼 한·중 양국이 공조할 수 있는 공간이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남북 대화 재개나 협상 다각화를 통한 북핵 문제의 해결 등은 중국이 주장하는 남북 대화 재개나 6자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 해결 방안과 기조 면에서 일치하기 때문이다.
미국의 ‘중국 봉쇄’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일본과도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싼 영토 분쟁으로 충돌이 잦아지고 있는 만큼 중국이 동아시아에서 ‘고립’을 피하기 위해서는 한국과의 관계 개선이 절실한 상황이기도 하다. 중국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동아시아연구센터 황다후이(黃大慧) 교수는 “양국이 북한 변수를 통제할 수 있도록 대화와 소통을 강화하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3-01-01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