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복무제, 국민 과반 여전히 부정적”
수정 2012-01-01 15:57
입력 2012-01-01 00:00
반대여론 2008년 68.1%→지난해 54.1%로 낮아져
국회 국방위원회 신학용(민주통합당) 의원이 병무청으로부터 제출받아 1일 공개한 대체복무 허용 여론조사(설문인원 2천명. 설문기간 2011년 11월18~30일.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2.2%p) 결과에 따르면 대체복무 허용에 찬성한다는 답변은 43.5%, 반대한다는 의견은 54.1%로 각각 조사됐다.
병무청이 지난 2008년 12월 발표한 여론조사 당시에는 대체복무 허용에 찬성과 반대하는 의견이 각각 28.9%와 68.1%였다.
대체복무 반대 이유로는 ‘대체복무가 병역기피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64.3%로 가장 많았고, ‘현역과의 형평성과 군 사기 저하’가 18.1%였다.
찬성 이유로는 ‘형사처벌보다는 대체복무가 바람직하다’(55.8%), ‘소수자 인권보호’(25.5%) 순이었다.
대체복무를 허용할 경우, 어떤 사유까지 인정해야 하는 지에 대해서는 종교적 신념과 비종교적 신념까지 함께 인정해야 한다는 응답이 44.8%로 ‘종교적 신념만 인정해야 한다’(31.8%)는 의견보다 많았다.
대체복무제 도입시 복무형태로는 ‘합숙복무’가 62.5%로 ‘출퇴근 복무’(28.4%) 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복무기간의 경우, 합숙 복무나 출퇴근 복무 모두 ‘현역병의 1.5배 이상’ 의견이 60% 안팎이었다.
대체복무시 복무 분야에 대해서는 ‘중증장애인 간병 등 공익근무요원 분야 중 가장 난이도 높은 분야’가 70.8%로 ‘일반 공익근무요원 수준의 업무’(22.4%)를 압도했다.
신 의원은 “대체복무 도입에 반대하고 입영 거부자는 형사처벌해야 한다는 응답은 남성 및 60대 이상에서 높은 반면, 대체복무를 허용하고 입영 거부 시에도 처벌하지 말자는 주장은 여성 및 20대에서 상대적으로 높아 성별ㆍ세대별 입장 차가 확연한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