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조선대 의대생 ‘미복귀’…대규모 제적 현실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서미애 기자
서미애 기자
수정 2025-03-24 18:55
입력 2025-03-24 18:39

휴학계 반려·학칙 적용 ‘최후통첩’ 불구
‘등록 마감’결과 수 십여명만 복학 신청

이미지 확대
전남대 정문.
전남대 정문.


광주 지역 주요 의과대학에서 대규모 미복귀 사태가 발생하면서 대량 제적 사태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대학 측은 학칙에 따라 엄정한 조치를 예고했다.

24일 교육계에 따르면, 전남대학교는 이날까지 복학 신청을 받았으나, 의대 휴학생 중 극소수만이 복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전남대 의대 재학생 커뮤니티에는 ‘미복귀’ 인증 게시물이 잇따라 올라오며 복학 거부 움직임이 확산하는 분위기다.전남대는 학칙상 개강 후 3주 이내에 복학해야 한다는 규정에 따라 이날을 복귀 시한으로 정했다. 지난 10일 사전 고지, 21일 휴학원 반려 조치를 거친 전남대는 이날 오후 6시(현장 접수 기준), 이메일은 오후 11시 50분까지 복학 신청을 받았으나 신청자는 극히 일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대 관계자는 “복학 신청 마감 시한을 연장할 계획은 없다”며 “미복귀 학생들에게는 학칙에 따라 제적 등의 조치가 취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동맹휴학에 참여한 전남대 의대생은 653명(재적 88.2%)에 달했으나, 이번 학기에 복학한 학생은 군 전역자를 포함해 약 30명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대학교 역시 오는 28일까지 복학 신청을 받지만, 의대 휴학생들의 복귀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고 있다. 지난해 조선대 의대생 676명(재적 90.1%)이 동맹휴학에 참여했으며, 이번 학기 복학자는 20여 명 수준에 머물렀다. 조선대 관계자는 “미등록 학생에 대한 제적 방침은 변함이 없으며, 복학 신청 기간을 연장할 계획도 없다”고 밝혔다.

한편, 교육부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미등록 제적 통보를 받은 의대생에 대한 정부 차원의 구제책은 없다”고 못 박았다. 이에 따라 상당수 의대생이 학적을 상실할 것으로 보이며, 의료 공백과 정부 대응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 서미애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5
1 / 3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