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시대 금화’ 진짜일까?
조태성 기자
수정 2006-10-14 00:00
입력 2006-10-14 00:00

서 교수는 이 화폐를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이 이를 기념하기 위해 즉위 8년에 발행한 주화로 해석했다. 동전 앞면에 쓰인 ‘발해통보’는 발해의 화폐라는 뜻이고,‘천통팔년’은 대조영의 연호인 ‘천통’과 ‘8년’을 합친 글자로 해석했다. 특히 ‘천통’이란 연호는 중국이나 한국측 공식 사서에서는 찾을 수 없고 대씨를 이은 태씨 가문의 족보 ‘협계태씨족보’ 등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서 교수는 “대조영은 고구려 멸망 이후 분열된 지역을 다시 통일했다는 의미에서 ‘천통’을 연호로 했고 당나라는 이를 인정하기 싫었기 때문에 그의 연호를 제대로 기록하지 않았다.”고 해석했다.그러나 사학계는 매우 조심스러운 반응이다. 고대유물 검증은 매우 까다로운 작업이기 때문이다. 한 교수는 “쇠에 비해 변화가 거의 없는 금으로 만들어진 금화이기 때문에 과학적 검증이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이런 경우 유물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교수는 “대조영 즉위 8년이라면 국가 내부는 물론, 대외관계가 몹시 불안정 할 때인데 이 때 기념주화를 만든다는게 가능한지, 또 ‘발해통보’라는 식으로 국호를 넣은 화폐를 우리는 물론 중국에서도 거의 찾아볼 수 없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의 관계자 역시 “결국 핵심은 유물의 출토 및 입수 경위”라면서 “그 경위가 입증돼야 하고 예전에 발견됐을 유물이 이제야 공개된 배경도 소상히 밝혀져야 한다.”고 말했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06-10-1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