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방문 美대통령 5명… 트럼프, 최초로 MDL 넘어
![서유미 기자](https://img.seoul.co.kr/img/n24/writer/s_2014028.png)
서유미 기자
수정 2019-07-01 03:06
입력 2019-06-30 23:28
유일하게 군복 아닌 양복… 평화 방점
![DMZ 오울렛 초소 함께 방문한 한미 정상 DMZ 오울렛 초소 함께 방문한 한미 정상](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6/30/SSI_20190630183958_O2.jpg)
판문점 AP 연합뉴스
DMZ를 찾은 첫 번째 미국 대통령은 1983년 11월 방한한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다. 레이건 대통령은 판문점 인근 콜리어 감시초소를 방문했다. 아웅산 테러 사건이 일어나고서 한 달 뒤에 있었던 이 방문에서 레이건 대통령은 장병에게 “여러분은 자유의 최전선에 있다”고 말했다.
빌 클린턴 대통령은 1993년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을 탈퇴한 직후 DMZ를 방문했다. 클린턴 대통령은 판문점 내 최전방 초소인 ‘돌아오지 않는 다리’ 지역을 시찰하고 “북한이 핵을 개발해 사용한다면 북한정권은 최후를 맞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북한을 ‘악의 축’으로 규정한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2002년 김대중 대통령과 함께 DMZ를 방문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2012년 3월 DMZ를 방문했다. 두 대통령 모두 군사분계선에서 25m밖에 떨어지지 않은 오울렛 초소를 방문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DMZ를 방문하면서 레이건 대통령 이후 조지 H 부시 대통령을 제외한 모든 대통령이 DMZ를 찾은 기록이 이어지게 됐다.
그러나 현직 미국 대통령이 평양 등 북한을 방문한 사례는 이제까지 없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안내로 군사분계선을 넘으면서 북한에 간 첫 현직 대통령이 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양복차림에 평화에 방점을 둔 발언을 한 점은 과거 DMZ를 방문한 대통령들이 군복 차림에 강력한 대북 메시지를 내놓은 것과 대조된다.
지미 카터와 클린턴 대통령은 퇴임 후 북한을 찾았다. 카터 대통령은 1994년 김일성 주석과 만나 한반도 핵위기 해소에 돌파구를 마련했다. 그는 총 세 차례 북한을 다녀왔다. 클린턴 대통령도 2009년 8월 북한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면담하고 억류된 미국 여기자 2명의 석방을 이끌어냈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2019-07-0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