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김문기 총장, 교육부의 사퇴 요구 받아들이길
수정 2014-08-25 00:00
입력 2014-08-25 00:00
김씨가 왜 총장직을 수행할 자격이 없는지는 되물을 필요도 없다. 우리나라에서 그보다 더 심한 사학비리를 저지른 이가 없다고 할 정도다. 1993년까지 상지대 이사장으로 재직하면서 교비를 횡령하고 부정입학을 저지르는 등의 비리로 구속돼 1년 6개월 동안 복역한 바 있다. 가족과 친지들을 동원해 족벌 경영도 일삼았다. 문제는 김 총장이 죗값은 치른 후에도 반성의 기미를 조금도 비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법적으로 문제가 없더라도 도덕성 면에서 이렇게 흠결 있는 인물이 대학 교육을 이끌 총장 자리에 앉아 있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상지대는 김씨가 구속된 뒤 한완상·강만길·김성훈 총장 등을 거치면서 교직원과 학생들의 노력으로 학교 이미지가 개선되는 등 크게 발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욕심을 버리지 않은 김 총장은 소송 등을 통해 집요하게 학교 복귀를 노리다 지난 4월 둘째 아들을 이사장에 앉히면서 학교를 다시 장악했다. 이렇게 된 데는 교육부의 책임도 크다. 산하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김씨 측에 이사 과반 추천권을 보장해 복귀의 길을 열어준 것이다.
학내 반발과 여론에 떠밀린 영향도 있지만 교육부가 뒤늦게나마 그의 사퇴를 권고한 것은 잘한 일이다. 교육부는 요구를 이행하지 않으면 “모든 수단을 강구해 강력하게 조처할 계획”이라며 강경한 태도도 보여줬다. 설령 김 총장이 오너라고 하더라도 자진 사퇴 후 덕망있는 새 총장을 찾는 게 학교를 살리는 길임을 알아야 한다. 교육부는 이사진 구성을 쇄신하는 등 정상화 방안도 모색하기 바란다. 특히 사학비리 전력자가 김 총장처럼 복귀 욕심을 내지 못하도록 법으로 원천 봉쇄해야 한다. 또 출연은 쥐꼬리만큼 하면서 학교를 사유재산으로 여기고 비리를 저지르는 부패 사학의 개혁도 시급하다.
2014-08-2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