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포스트 이건희’, 한국 경제는 준비돼 있는가
수정 2014-05-13 00:20
입력 2014-05-13 00:00
이 회장은 과거에도 두 차례 큰 고비를 넘긴 바 있다. 1982년 교통사고와 1999년 림프암 수술이다. 물론 이것 말고도 크고 작은 병마가 그를 괴롭혀 왔다. 그러나 그때마다 이 회장은 이를 이겨 냈고, 이에 힘입어 삼성 안팎에선 그가 이번에도 병석에서 일어설 것이라는 기대감을 꺾지 않고 있다. 올해 일흔둘이라는 나이를 감안하면 그가 건강을 회복해 경영 일선에 복귀하지 말란 법도 없어 보인다. 그러나 삼성은 물론 한국 경제의 큰 틀에서 본다면 그의 병세 회복과 별개로 이제 ‘포스트 이건희’ 시대의 삼성과 한국 경제의 향배에 대한 시나리오와 대책에 대해서도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삼성그룹 측은 이 회장의 건강 악화에 따른 별도의 경영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재벌의 특성상 이 회장 이후를 논의한다는 자체가 금기일 뿐더러 대외적 파장을 최소화하려는 원려에 따른 것이겠으나 내부에서마저 열중쉬어 자세로 있어선 안 될 것이다. 재계 안팎에선 당장 이 회장 일가의 지배구조 개편이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상황이다. 황차 이 회장의 그룹 지분이 어떻게 정리될 것인지, 그룹 계열분리 향배는 어떻게 될 것인지 등에 대해 갖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문제는 이런 논의에 삼성전자를 필두로 한 그룹 차원의 경쟁력을 어떻게 높여 나갈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별반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삼류에 불과했던 삼성을 20년 만에 브랜드 가치 세계 8위의 기업으로 올려놓은 1993년 이 회장의 신경영 선언 같은 혁신의 기미가 보이질 않는 것이다. 지분 정리나 지배구조 논의 앞에 기업 경쟁력이라는 화두가 놓이지 않는 한 급변하는 세계 시장 속에서 삼성의 앞날은 결코 장담할 수 없는 일이다.
정부도 장·단기 대책을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 당장 ‘삼성 리스크’에 따른 시장의 불안심리와 그 파장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우리 경제의 재벌 편중 구조를 완화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각종 대책들을 다시 한번 가다듬고 강화해야 한다. 소니의 일본, 노키아의 핀란드를 보고도 이들의 전철을 아무 대책 없이 밟을 수는 없는 일이다.
2014-05-1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