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가도 언딘도 숭고한 희생 나몰라라 하나
수정 2014-05-10 00:00
입력 2014-05-10 00:00
그런데 고인의 이런 숭고한 희생정신을 고양하기는커녕 욕되게 하는 짓거리들이 버젓이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그가 애초 잠수자격증이 없었다는 얘기가 떠돌더니 그의 사망 책임을 놓고 민간 잠수사 투입에 관여했던 해경과 수색업체 언딘이 서로 “우리 책임이 아니다”라며 발뺌하고 있다니 말문이 막힐 따름이다. 해경은 “우리는 언딘 측에 민간 잠수사 소집을 요청했을 뿐”이라 하고, 반면 언딘은 “언딘과 이씨는 정부의 징집으로 일하게 된 동등한 입장이기 때문에 정부가 책임져야 하는 문제”라며 서로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해하고 있다. 상처받은 유족들은 발인을 미뤘고, 고인은 차디찬 영안실에 안치된 채 영면하지 못하고 있다.
의사자 지정도 진척이 안 되고 있다. 그제 빈소를 방문한 정홍원 국무총리는 어느 것 하나 딱 부러진 답변도 못한 채 황망히 자리를 떴다고 한다. 정 총리가 남양주시 등에 “의사자 지정 등을 신속히 진행하라”고 했다지만 퇴임이 예정된 그의 지시가 제대로 이행될지에 대해서는 솔직히 회의적이다. 게다가 유족들에 따르면 지금까지 사과를 하거나 사후 수습에 대해 설명해준 곳은 단 한 군데도 없다는 전문이다. 의로운 일을 하다 목숨을 잃은 사람들에 대한 대접이 이토록 소홀할 것이라고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 UDT 출신의 아버지에 이어 2대째 잠수사로 활동해온 이씨의 공인자격증 보유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그는 소집령에 따라 ‘애국하러’ 진도에 내려갔고, 언딘에 배속돼 물속에 들어갔다가 불귀의 몸이 됐다. 그의 희생이 공적인 이유다. 의사자 지정 등 합당한 예우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국가도 외면하고, 사회도 모른 체한다면 도대체 어느 누가 기꺼이 재난과 참사 현장에 뛰어들어 구조와 복구작업에 힘을 보태겠는가.
2014-05-1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