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초등생까지 번진 명품병은 부모들 책임
수정 2012-03-01 00:12
입력 2012-03-01 00:00
실제로 고가의 외제 학용품의 경우 철없는 아이들이 부모들을 졸라 사기도 하지만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사서 주기도 한다고 한다. 어떤 학부모는 50만원이 넘는 독일제 백금 도금 샤프에 아이 이름까지 박아 달라는 주문을 하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서울 대치동의 한 문구점은 명품 바람에 외제 명품 필기구가 전체 매출의 약 35%를 차지할 정도라고 한다. 국내 제품은 팔리지도 않는다고 한다. 이제 아기자기한 학용품을 파는 학교 앞 문구점은 사라지고, 명품 가게로 변신한 문구점을 보는 날도 머지않았다는 얘기다. 필기구뿐만 아니다. 30만~50만원이나 하는 일제 책가방과 신주머니도 날개 돋친 듯 팔리고 있다. 이런 유행은 점차 강북으로도 불고 있다고 하니 병든 우리 사회의 한 단면을 보는 것만 같아 씁쓸하기만 하다.
내 자식 소중함에 하늘의 별이라도 따 주고 싶은 부모 심정을 이해하지 못할 바는 아니다. 하지만 아직 판단력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아이들의 작은 욕망에 부모들이 불을 붙이는 것은 분명 잘못됐다. 경제력이 없는 아이들을 값비싼 물건으로 치장해 자신의 부와 신분을 과시하려는 것이나 다름없다. 몇백만원이나 하는 외제 유모차와 샤넬백에 열광하는 부모들부터 정신 차려야 한다. 절제의 미덕으로 자존감을 높여 주는 것이 아이들에게 더욱 값진 선물이라는 것을 왜 모르나.
2012-03-0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