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캠프캐럴 금속성 물질 철저히 조사하라
수정 2011-07-11 00:24
입력 2011-07-11 00:00
조사단은 이상징후 지역 등 40개 지점에서 토양 시료 채취작업에 착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토양 시추 조사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 주민들의 의견이다. 주민들은 헬기장 한 곳을 40일 동안 조사한 끝에 낸 것이라기에는 턱없이 빈약한 결과라며 지지부진한 조사에 실망하고 있다. 2004년 삼성물산의 보고서에서 이미 기지가 맹독성 발암물질로 오염됐다고 지적된 만큼 지하수를 먹고 있는 주민들의 불안감을 덜기 위해 즉각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가는 관을 박아서 샘플을 채취하려는 미국 측의 시추방식보다는 직접 파서 확인하는 시굴작업을 원하고 있다.
미국 측에서도 토양 시추 조사로는 고엽제 드럼통 매몰 여부를 직접 확인하기 어렵고 정황파악만이 가능하다고 인정했다. 시추작업을 한 후 다시 시굴작업에 들어가야 한다면 처음부터 시굴작업에 바로 돌입하는 것이 논란을 줄이는 길이다. 당초 고엽제 의심물질 매립 의혹을 제기한 제대군인 스티브 하우스를 초청해서 드럼통을 묻은 지역을 시굴하는 등 한점 의혹 없이 조사에 임한다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드럼통을 옮겼으나 어디로 옮겼는지 기록이 없다는 식의 황당한 변명은 이젠 접어야 한다. 관련서류를 모두 공개하고, 한국 측 조사단과 긴밀하게 정보도 공유해야 한다. 미국 측이 진정성을 보이지 않는다면 칠곡 주민은 물론 한국 국민들이 분노할 것이다.
2011-07-1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