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속 활로 찾자” 안간힘 쓰는 업계들] 명품 모시기 경쟁 붙은 면세점
수정 2017-09-08 00:09
입력 2017-09-08 00:09

지난해 5월 문을 연 신세계면세점은 개장 직후부터 에트로, 발렌시아가, 피아제, 티파니, 구찌, 셀린느, 보테가베네타, 태그호이어 등 인기 해외 명품 브랜드를 차례로 입점시키며 객단가(고객 1인당 평균 구매액)를 높였다.
덕분에 신세계면세점은 개장 100여일 만에 평균 일매출 10억원대에 진입한 뒤 최고 50억원까지 껑충 뛰었지만 중국의 사드 보복이 본격화된 3월 이후에는 성장세가 꺾여 30억원대에 머물렀다. 신세계면세점 관계자는 “면세점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명품 브랜드를 더욱 확충해 고객을 모은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후발주자인 신규 면세점들이 명품 브랜드 유치에 사활을 걸고 나선 이유는 이른바 ‘명품 효과’ 때문이다. ‘명품 빅3’로 불리는 루이비통, 샤넬, 에르메스를 비롯한 해외 명품 브랜드는 고객 유인 효과와 더불어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객단가 상승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준다. 여행사와 수수료를 협상할 때도 강점이다.
그러나 한국 정부가 사드 발사대 4기 추가 배치에 나서는 등 한·중 관계가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이면서 이 같은 전략이 얼마나 효과가 낼지는 미지수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한 면세점업계 관계자는 “한·중 관계가 회복되지 않는 이상 상황이 나아지긴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대안 마련에 나서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7-09-0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