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영록 직무정지 중징계] 최수현·신제윤… 금융당국 수장도 만신창이
수정 2014-09-13 02:54
입력 2014-09-13 00:00
금감원장, 사태 키운 책임 커 경질설 자초, 금융위원장도 수수방관… 직무유기 비판
심지어 제재심의위원회는 최 원장의 공언과 달리 ‘경징계’를 결정했다. 일각의 주장대로 임 회장 진영의 치열한 ‘구명 로비’가 작용했다고 하더라도 사실상 ‘아군’이나 다름없는 제재심의위원들조차 제대로 설득하지 못한 ‘논리 결여’와 ‘능력 한계’를 드러낸 것이다. 자진 사퇴설, 경질설이 수그러들지 않는 이유다. 어떤 모양새가 됐든 최 원장의 하차는 시간문제라는 게 관가 주변의 시각이다. 연말쯤 자연스럽게 교체를 시도할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신제윤(행시 24회) 금융위원장도 책임을 피하기는 어렵게 됐다. 신 위원장은 그동안 KB 사태에 대해 ‘내부 경영 사안이라 금융위가 관여하기 어렵다’며 뒷짐져 왔다. 여기에는 30년 넘게 기획재정부에서 한솥밥을 먹은 ‘선후배’ 싸움에 쉽게 끼어들지 못한 인간적 고충이 자리한다. 하지만 고객 수가 3000만명이 넘는 국내 대형 금융사가 석 달 넘게 안팎 갈등을 겪으며 더 이상 집안싸움이 아니게 됐는데도 수수방관한 것은 직무 유기라는 지적이 나온다.
당초 중징계할 사안이 못 된다고 했다가 금감원장의 ‘초강수’에 꼼짝없이 중징계로 돌아섬으로써 스스로 논리를 부인하는 자기 모순에도 빠졌다. 금감원장의 번복을 또다시 번복하는 데 따른 금융 당국의 위상 추락 파장이 더 크다고 판단한 결과로 보이지만 당국의 권위와 신뢰는 이미 구겨질 대로 구겨졌다. 한 금융권 인사는 “최 원장은 지나치게 정치적이고 신 위원장은 청와대(박근혜 대통령)만 바라봐서 문제”라고 지적했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4-09-1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