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떨어지고 나면 주식형 펀드서 자금 빠진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7-13 10:15
입력 2014-07-13 00:00

“가계부(富) 줄고 전셋값 올라 펀드환매로 이어져”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 1년여 시차를 두고 국내 주식형 펀드에서 자금이 유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펀드 환매의 1차적 요인은 주가와 펀드 수익률이지만, 가계자산에서 비중이 큰 부동산가격의 변화도 무시할 수 없는 배경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13일 금융투자업계와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전국 주택 매매가격의 상승률은 국내 주식형 펀드의 자금 설정액 증가율에 1년가량 앞섰다.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매매가격지수 기준으로 2006년 11월∼2007년 9월 집값은 전년 동월보다 매달 9% 이상씩 올라 상승 폭이 컸다.

그로부터 약 1년 뒤인 2007년 11월부터 2008년 8월까지는 국내 주식형 펀드 설정액이 전년 동월보다 15% 이상씩 상승했다.

반대로 2009년 3월∼11월에는 집값이 전년 동월보다 떨어지거나 1% 미만 오르는 데 그쳤고, 그로부터 1년 6개월가량 지난 2010년 10월∼2011년 5월 펀드 설정액은 13% 이상 하락률을 기록했다.

이는 국내 가계 자산의 상당 부분을 부동산이 차지하다 보니 부동산 가격이 펀드 투자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통계청과 한국은행이 개발한 국민대차대조표에 따르면 국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자산에서 비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66%이며, 비금융자산에서 토지자산의 비중은 52%다.

이재훈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투자를 하려면 가계 자금 흐름이 좋아야 하는데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며 “집값이 하락하면 집을 가진 사람들의 부는 줄어들며, 전세 수요가 늘어 전셋값은 오르므로 집 가진 사람이나 전세 사는 사람이나 투자 여력이 줄어든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금융 자산보다는 부동산이 자산 유동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 변동과 펀드 자금 유출입에 약 1년의 시차가 발생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시장과 증시 모두 경기를 반영하므로 부동산 시장이 약세일 때 증시도 부진해 환매가 많이 발생한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이 연구원은 “수익률이 예전 같지 않아 펀드에 대한 기대감이 감소하면서 환매가 일어난다”며 “한정된 자산을 가진 가계가 환매를 통해 빼낸 자금을 결국 부동산이 흡수한 게 아닌가 추측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2013년 하반기부터 부동산 가격이 완만하게 개선되는 흐름은 향후 국내 주식형 펀드로의 자금 유입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 / 5
1 / 3
광고삭제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