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구조조정 신호탄 울렸나
수정 2011-01-14 10:04
입력 2011-01-14 00:00
김석동 금융위원장의 취임과 함께 저축은행 문제 해결에 팔을 걷어붙인 정부가 본격적으로 부실 저축은행 구조조정에 나서겠다는 신호탄을 쏜 것이 아니냐는 것.
최근 대형 금융지주사들이 인수 의사를 밝히면서 저축은행 문제 해결의 첫단추가 꿰어진 만큼 금융위가 구조조정을 미루는 저축은행에 대해 ‘망할 곳은 망하게 한다’는 원칙을 엄격하게 적용한 것 같다는 시각이다.
실제로 삼화저축은행은 지난해부터 금융당국과 경영정상화 약정(MOU)을 맺었지만 아무런 성과도 내지 못했다.기대를 걸었던 메리츠종금증권과의 인수.합병(M&A) 협상도 최근 무산된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이 더 이상 기다리지 않고 조치에 나선 것 같다는 게 시장의 분석이다.
또한 저축은행 업계는 정부가 삼화저축은행이 경영정상화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 예금보험공사를 통해 매각 절차를 병행키로 한 것에 대해서도 “예전과 달리 속도전에 나선 것 같다”는 반응을 보였다.
과거의 경우 저축은행을 정리할 때도 예보가 가교저축은행을 만들어서 정상화한 뒤 매각하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됐지만,영업정지 결정과 함께 매각 절차 병행하면 1개월 내에 매각이 완료될 수 있다는 것.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삼화저축은행의 영업정지 결정과 저축은행 구조조정은 별개의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삼화저축은행은 부채가 자산을 초과하고,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1.42%로 경영개선명령 지도기준(1%)에도 미달하는 등 더이상 정상적인 영업이 힘든 상황이었다는 것.
금융위 고위관계자는 “삼화저축은행에 대해선 지난 7월부터 자구노력의 기회를 줬지만 감독기관인 금감원도 이상 기다릴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저축은행 스스로 노력해서 문제를 해결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입장엔 변함이 없다”며 “정부가 삼화저축은행을 시발점으로 저축은행에 대해 칼을 뽑아든 것은 절대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 같은 당국의 입장과는 별개로 저축은행들은 구조조정 작업을 서두를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특히 지금껏 별다른 결과를 내지 못했던 저축은행들의 M&A 협상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현재 시장에는 삼화저축은행을 제외하고도 전주와 중앙부산 등 10여곳 안팎의 저축은행이 매물로 나와 있는 상황이다.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큰 저축은행,금융감독원과 MOU를 맺은 61개 저축은행 가운데 이행실적이 불량한 일부 업체도 추가로 매물로 나올 가능성이 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