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경쟁력 OECD국가 중 16위”
수정 2013-09-30 00:00
입력 2013-09-30 00:00
317개 지표 점수화 순위 산정
그동안 거시경제 지표를 바탕으로 한 국가경쟁력 지수에 가려져 분야별 정부의 역할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인식 아래 국내에서 ‘정부경쟁력’이라는 지표를 만들어 각국 정부를 평가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는 문화관광지수 순위에서 전체 3위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다.
이는 ‘한류’가 세계적으로 큰 호응을 얻으면서 각종 국내 문화상품의 수출입이 활발해졌기 때문이라는 것이 연구진의 분석이다.
문화관광 부문에 이어 우리 정부는 경제(9위)와 정보통신기술(10위) 부문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복지와 교육 분야 경쟁력은 최하위권에 속했다. 보건복지지수는 전체 27위, 교육지수는 전체 20위를 기록했다.
임 교수는 “복지 분야의 정부지출 비중, 삶의 만족도, 직업 안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우리나라는 보건복지 분야에서의 취약성을 드러냈다”면서 “영국 신경제재단(NEP)이 3년마다 발표하는 행복지수 순위에서 한국은 지난해 151개국 중 63위에 그치는 등 우리 사회 전반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낮은 점이 지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교육에서는 국민의 높은 교육열에 비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부의 노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3-09-3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