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라 서울시의원 “한 해 146억 5000만원 예산, 1인 가구 지원사업 대상자 4명 중 3명 몰라”
수정 2024-01-05 09:55
입력 2024-01-05 09:55
서울시 1인 가구 지원사업 여론조사 발표
서울시 1인 가구 정책과 사업이 충분하다는 응답자는 16.6%에 그쳐
‘정책이 없거나 와닿지 않는다’라는 응답 24.0%
1인 가구 시민이 가장 원하는 사업은 ‘주거 및 경제 지원책’
관악구 ‘중장년 1인 남성 모임 십시일반 사업’ 인지도 불과 3.8%로 ‘꼴찌’



발표된 ‘서울시 1인 가구 지원사업인지도 조사’는 서울시 거주 만 19세 이상 1인 가구 가구주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2.2%포인트로 서울시 1인 가구 정책인식을 파악해 서울시 정책 수립 및 논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시 1인 가구 지원사업별 인지도는 ‘1인 가구 전월세 안심게약 도움 서비스’가 61.6%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안심귀가 스카우트 운영’ 47.4%, ‘안심택배함 운영’이 37.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마주봄매니저 운영’에 대한 인지도는 9.9%, ‘씽글벙글 사랑방 조성 운영’ 사업 10.2%로 약 10명 중 1명만 해당 사업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서울 시민이 가장 필요한 1인 가구 지원 사업은 ‘주거 및 경제 프로그램’(70.1%)으로 나머지 ‘신체건강’, ‘심리지원’, ‘취미나 여가’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모두 합한 것(27.2%)보다 월등히 응답이 많았다.

설문조사를 의뢰한 이 의원은 조사 결과에 대해 “이제 서울시도 집 걸러 한 집이 1인 가구(2022년 통계청 조사 38.2%)일 정도로 1인 가구는 시의 중요한 정책대상임에도 서울시가 정확한 수요조사 및 통계에 근거한 세심한 사업 추진은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1인 가구 시민들은 당장 주택·경제적 문제, 즉 먹고 사는 문제에 관심이 높았다, 이에 맞춰 서울시가 보다 현실적인 지원책을 세워 제공해야 한다”라며 “이는 앞으로 1인 가구 정책을 비롯해 서울시 사업들이 단순히, ‘이 사업 괜찮을 것 같다’라는 관례적인 기획에서 벗어나 통계 및 조사결과에 따라 시민이 원하는 욕구를 자세히 파악하고 그에 따른 효과를 검증해 세금이 투입되는 사업을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서울시 1인 가구 지원사업인지도 시민여론조사’ 결과보고서는 서울시의회 홈페이지 자료실에 공개되며, 추후 의원 의정활동 및 정책연구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