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찐팬’의 수준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수정 2025-05-12 02:15
입력 2025-05-12 00:58
이미지 확대


지난해 한국을 찾은 영국의 음악 페스티벌 대표는 “우리 음악회에서는 악장 사이에 손뼉을 쳐도 괜찮다”고 말했다. 그는 “악장 사이 박수는 콘서트에 처음 온 사람이 있다는 신호”라며 “전통을 잘 모르는 이들이 다시 콘서트에 오는 것을 주저하게 만들지 않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런데 다시 생각해 보면 그의 설명은 “그런 사람도 음악회가 익숙해지면 결국 박수를 남발하지 않는 것이 예의”라는 뜻에 다름 아니다.

대가(大家)의 역사적 연주회를 담은 실황 음반의 ‘옥의 티’도 연주가 아니라 박수나 환호일 때가 많다. 감동적으로 연주가 끝났는데 여운도 가시기 전 남발하는 “브라보”는 소음이다. 우리 소리판에서는 추임새를 넣는 것이 미덕이지만 그것도 장단이 맞아야 한다.

지난주 원로급에 접어들고 있는 바이올리니스트의 독주회를 찾았다. 객석은 군데군데 비어 있었지만 연주는 어느 때보다 따뜻했다. 연주자의 호흡과 감정을 따라가는 ‘찐팬’의 절제된 박수와 환호도 인상적이었다. 그렇게 시간이 흐르자 썰렁했던 공연장이 뭔가로 가득 채워져 가는 느낌이었다.

서동철 논설위원
2025-05-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