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조직개편 입체 분석] (4) 미래부의 ICT 전담
수정 2013-01-29 00:24
입력 2013-01-29 00:00
미래성장동력·일자리 창출… 새 정부 창조경제의 중심축
차기 정부 조직 개편의 핵심으로 각 부처에 흩어져 있던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조직과 기능을 통폐합한 것을 꼽을 수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미래창조과학부 내 ICT 전담 차관이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게 된다. 당초 ICT만 따로 떼어내 별도 부처로 독립 가능성도 점쳐졌지만, 미래창조과학부로 흡수된 데는 기초 분야인 과학기술과 응용 분야인 ICT의 융합에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해석된다. 미래 성장동력 발굴과 일자리 창출 등 창조경제를 뒷받침하는 ‘싱크 탱크’이자 ‘액션 탱크’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ICT 전담 조직에는 우선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통신 융합·진흥 업무가 흡수된다. 행정안전부가 담당하던 국가정보화 정책 및 정보화 전략 기능, 지식경제부의 정보통신 산업진흥 기능과 소프트웨어산업 융합정책 등도 이관된다.
이명박 정부 들어 폐지된 정보통신부의 옛 모습이 5년 만에 부활하는 것이다. 여기에 문화체육관광부의 디지털콘텐츠산업 진흥 기능과 방송광고 정책 등이 추가됐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3-01-29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