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원권 10%↓…5000원권·1000원권은 1% 미만
환수율은 50% 내외…100% 안팎 1만원권과 대비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전체 화폐 발행 잔액 176조 8000억원 가운데 5만원권 지폐는 155조 7000억원에 달했다. 화폐 발행 잔액 중 88.1%가 5만원권인 셈이다. 화폐발행잔액은 한은이 시중에 공급한 화폐에서 환수한 돈을 빼고 남은 금액을 뜻한다.
5만원권 비중이 88%를 돌파한 것은 2009년 6월 발행 이후 처음이다. 첫 발행 당시 5만원권 비중은 7.7%에 그쳤지만 이후 경제 규모 확대, 물가 상승으로 고액권 수요가 늘면서 5만원권 유통은 빠르게 확산했다.
반면 5만원권에 밀리며 1만원권 비중은 쪼그라들었다. 지난 8월 기준 1만원권 지폐 발행 잔액은 15조 6000억원으로 전체 화폐 발행 잔액 중 비중은 8.8%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5000원권과 1000원권 발행 잔액은 1조 4000억원과 1조 6000억원 수준으로, 전체 잔액 중 비중은 0.8%와 0.9%에 불과했다.
5만원권의 발행 잔액 비중이 90% 육박하지만 한은으로 돌아오는 비중은 절반에 그쳤다. 5만원권 발행 이후 환수율(발행액 대비 환수액)은 40~60% 수준을 유지했다가 방역이 강화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20년 24.2%, 2021년 17.4%까지 떨어졌다. 코로나19 사태로 대면 거래가 줄어들고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비상용으로 5만원을 쌓아두는 경향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반면 1만원권 등 나머지 화폐의 환수율은 꾸준히 100% 안팎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최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