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쪽으로
날이 휘어지고 있다
찌르지 못하는
뭉툭한 등을 너에게 보이면서
심장이 있는
안쪽으로 구부러지고 있다
팔처럼
날은 뭔가를 껴안으려는 것 같다
푸르고 둥근 줄기
핏줄 다발이 올라가는 목이
그 앞에 있다
뜨겁고
물렁한 것이 와락 안겨올 것 같아
날은 몸을 둥글게 말아
웅크리고 있다
‘낫’은 이상한 역설과 같은 연장입니다. 본래 베거나 끊는 도구인데, ‘팔처럼 뭔가를 껴안으려는 것’처럼 보이니까요. ‘몸을 둥글게 말아 웅크린’ 모양은 공격보다 방어하기에 적합한 자세 아닌가요.
그 모양이 다정하게 껴안는 척 무정하게 베어 버린 시간 같고, 미안하다고 말하면서 용서는 할 수 없는 마음 같습니다. 상처를 내기도 전에 먼저 내상을 입은 묘한 마음의 형태가 이와 같을까요? ‘푸르고 둥근 줄기’를 뭉텅뭉텅 잘라낸 비명, 언젠가 내뱉은 서슬 푸른 말의 다발을 떠올립니다.
신미나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