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어느 하루/조이한 아트에세이스트

업데이트 2022-09-23 01:54
입력 2022-09-22 22:08

성평등 강사마저 뒤틀려 있는 性인식
소설도 스토킹을 ‘순수한 열정’으로 왜곡
넘쳐나는 성폭력 속 우린 뭘 깨닫는가

이미지 확대
조이한 아트에세이스트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1. 지역에서 있었던 성평등 교육 소식을 들었다. 강사는 강의 끝에 장애인의 성적 욕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사람들은 고개를 끄덕였다. 뒤이어 강사는 필요한 경우 어머니가 장애인 아들의 성욕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강사가 ‘어머니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무슨 뜻으로 썼는지는 모르겠지만 ‘장애인’을 남성으로 전제하고, 듣는 사람 또한 여성 장애인은 떠올리지도 못한 것 같다. 바꿔서 생각해 보자. 딸의 성욕 해결을 위해 아버지가 나선다? 어떤 방식으로? 왜 이 사회는 장애인이건 비장애인이건 남성의 성욕을 해소시켜 주지 못해서 안달일까? 왜 그들의 성욕은 무조건 해결돼야 하고, 부모나 다른 직업여성이라도 나서서 해결해 줘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묻고 싶었지만, 강의는 이미 한참 전의 일이었다.

2. 소설을 읽었다. 어머니가 두 다리를 잃은 큰아들을 업고 주기적으로 사창가를 가는 대목이 나온다. 둘째 아들이 그 사실을 알고 어머니의 수고를 자신이 대신한다. 그는 형을 여관에 내려놓고 여자를 찾아 나선다. 소설에서 그 대목이 갈등 해결에서 중요한 지점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만약 장애인 딸의 성욕 해소를 위해 아버지가 자기 몸의 어느 부분을 사용하거나 딸을 업고 남자를 찾아 넣어 주는 장면이라면? 그것을 부성이라거나 지극한 사랑으로 치장할 수 있을까? 아니, 장애인 여성의 성욕에 대해 어느 한순간이라도 고민해 본 적은 있을까? 소설에서 동생이 짐승의 우리에 산 먹이를 던져 넣듯 여자를 물색해 집어넣는 장면에는 ‘창녀’에 대한 무시와 폭력적 시선이 깔려 있었다. 게다가 그는 상대의 의사와 상관없이 멋대로 사랑(에 빠졌다고 상상)하고 상대 여자를 몰래 찾아가고 집안을 훔쳐보고 지켜 주겠다고 약속한다. 이것은 스토킹과 바로 연결되지만, 사랑에 몰두한 순수한 남자의 열정으로 치장된다. 소설에서 이 대목은 동생의 성격을 말해 주는 대목일 뿐이지만, 작가는 처음부터 끝까지 이상적인 여성상을 만들어 놓고 그녀를 ‘창녀’와 구분 지으며, 순수한 그녀를 통해 구원받고자 하는, 역사 이래 변한 적 없는 진부한 플롯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소설은 지고지순한 사랑의 서사로 해석된다.

3. 새벽 산책을 했다. 사람이 별로 없는 길을 택했다. 평소와 달리 저 멀리서 한 남자가 다가왔다. 지나치려는데 말을 건다. 어느 동네 사람인지, 어디에 사는지를 집요하게 묻는다. 이럴 땐 너무 친절해도, 너무 무례해도 안 된다. 대충 대답하고 지나갔다. 전환점을 지나서 되돌아오는데 내가 쉼터로 삼는 평평한 자리에 앉아 있던 그 남자가 기다렸다는 듯 또 말을 건다. “안 무서워요?” “여자가 용감하네. 새벽 시간에 혼자 산책을 다 하고….” 나는 그런 말을 하는 당신이 더 무섭다. 단지 그 남자에게 내가 무서워한다는 걸 들키고 싶지 않았을 뿐이다. 그 남자는 자신이 두려움의 대상이 될 거라는 걸 인지하지 못하는 것 같았다. 내가 무서워한다는 걸 알면 자기를 잠재적 범죄자 취급한다고 기분 나빠할지도 모른다.

4. 또 한 명의 여성이 거의 3년 동안 스토킹에 시달리다 살해당했다. 평균적으로 하루에 한 명꼴로 아는 남자로부터 살해를 당하거나 살인 미수가 벌어지고, 하루에 평균 13건씩 강간 사건이, 하루 평균 40건 이상씩 강제추행 사건이 벌어지지만, 법원은 스토킹을 여전히 가벼운 범죄로 여기는 게 틀림없다. 피해자보다 가해자를 동정하며 이해해 주는 분위기도 여전하다. 성실한 청년이었대. 회계사 시험에도 합격했대. 앞길이 창창한 청년이 인생 망치게 생겼네. 얼마나 좋아했으면 그랬겠어. 여자가 좀 받아 주지. 인터넷신문 댓글은 피해자를 탓하는 글로 넘쳐난다. 그간의 사건들로 배운 게 없다. 이들은 학습 능력이라는 게 없다.

2022-09-23 26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