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내준 국방부 가보니
운영지원·예산관실 분산 배치
공간 부족 부작용은 일단 해소
기자실 外 휴대전화 소지 못 해
보안앱 깔아야 청사 이동 가능
대통령실 방향에 이동형 펜스
군사·사복 경찰 행인 통행 주시
국방부 서문에서 평소처럼 출입증으로 보안 게이트를 지나면 왼쪽으로 대통령실(옛 국방부 청사), 오른쪽으로 국방부(옛 합참 청사)가 나란히 서 있다. 하지만 대통령실 방향 인도에는 이동형 펜스를 쳐 놓고 통행을 금지하다 보니 대부분 국방부 쪽 인도를 이용하고 있다. 이처럼 길이 외길이다 보니 러시아워에는 보행 적체 현상이 빚어진다.
대통령실의 용산 이전에 따라 국방부와 소속기관, 합참 일부 부서도 연쇄 이동했다. 국방부 장관과 합참의장은 기존 합참 청사 3층에서 ‘동거’ 중이다. 합참의장은 기존 집무실을 장관에게 내주고 복도 건너편 사무실을 집무실로 쓰고 있다.
결과적으로 기존 합참 청사의 1, 3, 4, 5, 6층을 국방부가 쓰고 2, 7, 8, 9, 10층을 합참이 쓰는 구조로 바뀌었다.
국방부에 업무 공간을 내주기 위해 합참의 지원 부서 등이 나갔다. 인사와 전략본부 등 일부 부서를 중심으로 옆 건물인 합동전쟁수행모의본부를 비롯해 국방시설본부, 별관에 재배치됐다. 국군사이버사령부와 국군심리전단은 일단 별관에 머물지만, 국방부의 추가 이동 계획에 연계해 움직일 예정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영내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분산 배치했고 시설본부 등 일부 부서는 영내 밖으로 이동했다”고 했다.
국방부가 들어온 기존 합참 청사는 층마다 보안문이 설치돼 있어 이동이 엄격히 제한된다. 1층에 있는 기자실과 국방부 공보과를 제외하면 휴대전화를 갖고 다닐 수 없다. 휴대전화를 소지하고 들어가려면 보안 애플리케이션(앱)을 깔아야 한다. 심지어 10층에 있는 구내식당을 이용할 때도 휴대전화에 보안앱을 깔거나, 기자실에 놓고 올라가야 한다. 역시 장관과 합참의장 등 군 관계자를 청사에서 만날 때도 휴대전화를 접수처 위병에게 맡기고 보안검색대를 통과해 들어가야 한다.
문경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