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 한 해 읽는 책은 4.5권…20대·전자책 독서율은 조금 올라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업데이트 2022-01-14 16:00
입력 2022-01-14 11:23

문체부, 2021 국민 독서실태 조사 결과 발표

이미지 확대
서울도서관에서 책을 읽는 시민들의 모습.
서울신문 DB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우리나라 국민들의 종합 독서율이 또 감소해 성인은 한 해에 평균 4.5권을 읽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전자책을 읽는 비중은 조금 늘었고 20대의 독서율도 약간 올라 전 연령 가운데 가장 높은 독서율을 보였다.

문화체육관광부가 19세 이상 성인 6000명과 초등학생(4학년 이상) 및 중·고등학생 3320명을 대상으로 한 ‘2021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 결과 성인들의 연간 종합 독서율은 47.5%로 2019년에 비해 8.2% 포인트 줄었다. 성인 한 명당 한 해에 읽는 책의 수도 4.5권으로 이전 조사시점인 2019년에 비해 3권 줄었다. 이 가운데 20대 청년층(19~29세)의 독서율은 78.1%로 2019년에 비해 0.3% 포인트 늘었고 모든 성인 연령층과 비교해 높은 독서율과 많은 독서량을 보였다.

초·중·고등학생들의 연간 종합독서율은 91.4%, 연간 종합독서량은 34.4권으로 2019년에 비해 독서율은 0.7% 포인트, 독서량은 6.6권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종이책을 읽는 비율은 갈수록 줄지만 전자책 독서율은 조사마다 오르고 있다. 성인들의 독서율을 보면 2017년 종이책 59.9%, 전자책 14.1%에서 2019년 종이책은 52.1%로 줄었지만 전자책은 16.5%로 올랐다. 지난해 조사에서도 종이책 독서율은 40.7%로 크게 줄었지만 전자책은 19%로 소폭 올랐다. 특히 20대의 전자책 독서율은 2017년 34.7%, 2019년 39%에서 2021년 50.5%로 크게 증가했다.

이번에 처음으로 조사한 ‘코로나19 발생 이후 독서 생활 변화’에서 성인들은 대체로 큰 변화가 없다고 답했지만 학생들은 도서량(40.6%)과 종이책 독서 시간(47.6%)이 증가했다는 답변이 많았다. 그러나 실제 학생들의 전체 독서량과 종이책 독서기간은 지난 조사와 비교해 증가하지는 않아 학생들의 주관적 인식과 실제 독서생활의 차이를 보여주기도 했다.

조사에서 성인들은 ‘일 때문에 시간이 없다’(26.5%)는 점을 독서하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이어 ‘다른 매체·콘텐츠 이용’(26.2%)이 뒤를 이었다. 학생들은 ‘스마트폰, 텔레비전, 인터넷 게임 등을 이용해서’(23.7%)라는 이유를 독서 장애 요인으로 가장 많이 답했다.

문체부는 “20대 청년층 독서율이 소폭 높아지고 20~30대의 전자책 이용률이 높게 나타난 것은 긍정적 요소”라면서 “새로운 매체에 대한 수용성이 비교적 높은 청년들의 전자책 이용이 많은 것으로 볼 수 있어 습관적 독자를 늘리기 위해 전자책, 소리책(오디오북) 등 디지털책 콘텐츠를 확산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영·유아부터 어르신까지 아우르는 생애주기별 독서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2022 청년 책의 해’, ‘2022 대한민국 독서대전’ 등과 연계한 독서문화 운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독서활동 소외계층에 대한 정책 사업과 ‘제3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2019~2023)’의 주요 정책 과제인 디지털책 콘텐츠 확산 지원 정책도 추진한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