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로 제도에서 이런 야만이, 하루에 돌고래 1428마리 몰살

임병선 기자
업데이트 2021-09-15 15:50
입력 2021-09-15 09:15
이미지 확대
지난 12일(현지시간) 북대서양 페로 제도 이스투로이 섬의 스칼라붓누르 해변에 목숨을 잃은 대서양흰줄무늬돌고래 사체들이 즐비하다.
영국 시 셰퍼드 재단 제공 AP 연합뉴스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아직도 이런 일이 관행이란 이름으로 통용된다니 끔찍하다. 이번에는 일본이 아니고, 멀리 북대서양 아이슬란드 남쪽 페로 제도에서다. 지난 12일(이하 현지시간) 하루에만 무려 1428마리의 대서양 흰줄무늬돌고래가 몰살됐다니 어이없기조차 하다.

오래 전부터 주민들은 먹을 거리가 부족했고 고립되기 일쑤였던 이곳에서 살아남기 위해 돌고래 등을 사냥해왔다. 그런데 이제는 먹을 거리도 넘쳐나고 외부로부터 식품 보급도 쉬워졌을텐데 이런 끔찍한 일을 관행이란 이름으로 정당화한다니 답답한 노릇이다.

제도 가운데 이스투로이 섬의 스칼라봇누르 해변은 북대서양에서도 가장 긴 피요드르만이어서 얕은 곳인데 주민들은 시속 44㎞까지 속도를 내는 모터보트와 제트스키 등으로 돌고래떼를 몰아 이곳으로 유인한 뒤 흉기를 휘둘러 몰살시킨 뒤 주민들이 고기를 나눠 먹는 관습을 이날도 뒤따랐다. 잔인한 모습을 담은 동영상이 소셜미디어에 많은데 시뻘건 피가 낭자한 해변에 수백명의 주민이 몰려나와 구경하는 모습이라고 영국 BBC는 소개했다.

덴마크 자치령인 페로 제도 당국에 따르면 일년에 검은고래는 평균 600마리, 흰줄무늬돌고래는 2019년 10마리와 이듬해 35마리에 그칠 정도로 잘 잡히지 않는 포유류인데 단 하룻만에 이처럼 엄청난 숫자가 희생된 것이다. 해서 예년같으면 환경운동가들이 극렬한 분노를 드러내고 패로 제도의 주민들은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갖고 웬 시비냐”고 반박했는데 올해는 양상이 달랐다. 제도의 주민들, 심지어 사냥 관행에 함께 했던 이들까지 혀를 내둘렀다.

이곳 출신 해양생물학자인 뱌르니 미켈센은 이전까지 하루 돌고래 사냥 두수는 1940년 1200마리였으며 1879년 900마리, 1873년 856마리, 1938년 854마리 순이었다고 말했다.

페로 제도 고래협회의 올라부르 슈르다르베르그는 BBC에 “커다란 실수였다”며 “몰이꾼들도 처음에는 200마리 정도가 들어온 것으로 생각했다. 해서 사냥을 시작한 뒤에야 그들도 돌고래 수가 엄청나다는 것을 알았다. 누군가가 더 잘 알았어야 했다. 대다수는 벌어진 일에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당국은 이 일을 사전에 승인했다. 따라서 주민들이 법을 위반한 것은 아니었다. 상업적으로 기획한 일, 외부에 고기를 팔거나 할 목적도 아니었다. 마을 일이었고, 누군가 고래떼를 발견하면 즉자적으로 이런 대응을 하곤 했다.

이곳 출신 덴마크 의회 의원인 슈르다르 스카알레는 흰줄무늬돌고래 사냥이 합법이지만 썩 인기 있는 일도 아니라고 말했다. 다음날 그는 스칼라봇누르 해변을 찾아 주민들을 향해 “사람들이 분노하고 있다”며 자신도 사냥을 지지하지만 올바른 방식으로 행해질 때만 인간적인 일이라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목을 따기 전에 고래나 돌고래의 척수를 끊는 데 특별 제작된 창을 쓰는 일이다. 동물들을 두 번 죽이는 일을 막기 위해서다.

그는 사냥에는 동참하지 않았는데 “동물복지의 관점에서 소돼지를 가둬 기르는 일보다 고래 등을 사냥해 고기를 구하는 것이 낫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2019년 페로 제도의 토르샤븐 해변에 고래와 돌고래 사체가 널부러져 있고 시뻘건 피로 온바다가 붉게 물들었다.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영국 동물보호단체 ‘시 셰퍼드’는 “페로 정부가 생각하는 만큼 돌고래나 검은고래 몰살은 빨리 진행되지 않는다”며 “그린다드랍(Grindadrap) 사냥은 질질 시간을 끌며 때로는 뒤죽박죽된 학살로 막을 내린다”고 강조했다. 모래밭에 갇히거나 얕은 물에서 허우적대는 친척들 앞에서 고래 목숨이 끊기는 일이 다반사다.

페로 제도 공영방송 크링바르프 포로야의 트론두르 올센 기자는 “예외적으로 엄청난 숫자 때문에 당혹감과 충격을 안겼다”며 곧바로 약식 여론조사를 했는데 절반 이상이 안된다고 답한 반면, 30% 이상은 사냥이 계속돼도 좋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별도의 조사에서는 검은고래 사냥이 계속돼야 한다는 데 80%가 동의했다고 전하며 어이없어 했다.

그는 “국제적 관심을 끌게 됐다. 사람들 스스로가 엄청난 후폭풍을 가져올까봐 두려워하고 있다고 난 본다. 환경운동단체들이 더 압력을 가할 좋은 시점이다. 숫자가 너무 많기 때문에 이번에는 다를 것이라 본다”고 강조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