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폭 대물림… 학교 등돌림

오세진 기자
업데이트 2021-02-23 18:31
입력 2021-02-23 17:58

“선배가 때려 아프다고 했더니 선생님이 시끄럽다고 했어요”

논문에 실린 학폭 피해자 6명의 증언
이미지 확대
학교폭력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대학생 이선우(이하 가명)씨는 고등학교 입학 첫날을 잊지 못한다. 선배들은 이씨를 포함한 1학년 학생들을 한 반에 집합시켰다.

“눈 깔아. ××놈들아.” 욕설과 함께 날아든 손찌검으로 선배들의 군기 잡기가 시작됐다. “선배는 하늘”이라고 소리치며 앞으로 선배들을 만나면 ‘90도 인사’를 할 것을 강요했다. 이씨는 “기숙사에서도 선배들이 1학년 학생들을 집합시켰는데 어떤 선배가 다짜고짜 서 있던 친구들 뺨을 한 대씩 때렸다”며 “맞은 이유는 단지 선배들에게 인사를 잘 하지 않아서였다”고 말했다.

최근 일부 운동선수와 방송인이 과거에 학교폭력 가해자였다는 폭로가 잇따르면서 학교폭력 문제의 심각성이 다시 대두됐다. 일부는 가해 사실을 인정했고, 정부는 체육계에 만연한 폭력을 근절할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하지만 일선 학교에서 학교폭력 문제를 알고도 묵인하는 현실이 변하지 않으면 폭력의 악순환이 계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학술지 ‘아시아교육연구’에 등재된 논문 ‘선후배 간 위계문화를 통한 학교폭력 경험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중·고교 시절 학교폭력을 경험한 대학생 6명은 심층 인터뷰에서 중·고교 진학과 동시에 선배들로부터 ‘이해할 수 없는’ 규칙 준수를 강요받았다고 밝혔다.

체육계열 특수목적 중·고교를 다닌 서하윤씨는 “선배들이 후배들에게 급식을 먹을 때 국물을 남기지 말고 국그릇을 들고 마시지도 말라고 강요했다”며 “식사를 시작할 때도 선배들에게 일일이 ‘맛있게 드세요’라고 인사해야 했다”고 떠올렸다.

학교폭력 경험자들은 선배의 폭력을 ‘교육’으로 정당화하는 학교 분위기 때문에 뾰족한 대응 방법을 찾지 못한 채 폭력적인 위계문화에 익숙해졌다고 털어놨다. 이들은 학교가 오히려 폭력이 대물림되는 구조를 이어 가는 데 한몫했다고 입을 모았다.

고교 운동부 출신의 최우진씨는 “선배들에게 심하게 맞은 후 수업에 들어갔는데 수업 중에 너무 아파서 신음을 냈다. 그러자 당시 수업 교사는 ‘시끄럽게 할 거면 뒤에 나가 서 있으라’고 했다”고 말했다.

학교의 대응도 겉으로 드러난 상황을 종료하기 위한 방편에 지나지 않았다. 예술중학교에 다닌 박서연씨는 “담임선생님이 교실에 오셔서 폭력 상황을 파악하려 했지만 가해 학생들을 담당하는 실기 선생님들이 본인들이 알아서 해결하겠다고 나섰다”며 “결국 가해 학생들의 입시를 고려해 ‘생활기록부에 가해 기록을 남기지 않고 봉사활동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사건이 일단락됐다”고 전했다.

논문을 쓴 이은지 연세대 교육연구소 전문연구원은 “학교는 무관심, 위계문화를 긍정하는 태도, 가해 학생의 입시 영향 등을 이유로 학교폭력 문제를 방관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폭력에 친화적인 학교 문화를 바꾸려면 교사들이 적극 나서야 하고, 학교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 당국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21-02-24 8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