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거리두기 효과 불충분…발병 규모 커질 듯”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업데이트 2020-12-05 15:41
입력 2020-12-05 15:31
이미지 확대
4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2020.12.4
뉴스1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방대본 “환자 1명이 1.4명 감염…1 이하로 낮춰야”


방역당국이 코로나19의 국내 3차 대유행 국면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격상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고 있다며 앞으로 발병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감염자 1명이 평균적으로 감염시키는 2차 감염자 수, 즉 재생산지수가 지난주 1.4 수준이라고 우려했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은 이날 온라인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면서 “최근 1주간 일평균 국내발생 확진자 수는 487.9명으로, 전주 대비 80여 명이 늘어난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주 감염 재생산 지수는 1.4 수준으로, 이는 환자 1명이 1.4명 정도를 감염시키고 있다는 의미”라며 “이 지수를 1 이하로 낮추지 못하면 유행의 크기는 계속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583명 늘어 누적 3만 6915명으로 집계됐다.

전날(629명)보다는 다소 줄어 일단 600명 아래로 내려왔지만 감소 추세로 볼 수 없는 상황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559명으로 전날(600명)보다 41명 줄었다.

“역학조사가 바이러스 전파 속도 못 따라가”
방역당국은 이 같은 확산세의 원인으로 거리두기 격상의 효과가 미진한 점과 함께 역학조사가 코로나19 전파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점을 들었다.

임 단장은 “그간 지역사회에 잠재된 감염이 누적돼 있어 아직까지는 (거리두기 격상의)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최근 수도권에서는 감염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어서 이 지역에서의 이동 자제는 더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방역당국의 역학조사 상황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우려도 나타냈다.

그는 “중앙과 지방자치단체에서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접촉자 추적에 나서고 있지만, 감염 확산의 규모가 크고 사례가 너무 많은 것이 사실”이라며 “감염경로를 조사 중인 사례(불분명 사례)도 약 20% 정도로, 이는 전주와 비교하면 증가하는 추세”라고 전했다.

중심집단 없이 일상 곳곳서 감염…모임 취소 당부
이미지 확대
논술 시험 준비하는 수험생들
논술 시험 준비하는 수험생들 5일 서울 광진구 건국대학교 새천년관에서 열린 ‘2021학년도 수시모집 논술고사’를 앞두고 수험생들이 감독관의 설명을 듣고 있다. 2020.12.5/뉴스1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임 단장은 이번 3차 유행의 특징과 관련해선 특정 시설이나 집단 중심의 앞선 1·2차 유행 때와 달리 이렇다 할 ‘중심 집단’ 없이 일상 곳곳에서 감염이 확산하는 새로운 양상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대학 동아리, 지인모임, 호프집, 학원 등 일상생활의 구석구석 어디에서나, 또 전국에 걸쳐서 감염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지금의 코로나19 유행은 어느 특정한 집단과 장소가 아니라 내가 자주 가는 집 주변에서 발생하고 있다. (감염자가) 우리 가족일 수도 있고 지인일 수도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3차 유행의 확산세가 완전히 꺾일 때까지 모임을 취소하고 이동을 자제해 달라고 당부하면서 “지금은 경각심을 갖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국민께서 과감하게 결단하고 행동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이후 실시되는 대학별 면접·논술 시험과 관련해 “이달 첫째 주와 둘째 주에는 수도권 대학에 전국의 수험생이 집중됨에 따라 이를 통한 감염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수능이 끝난 뒤에도 친구나 지인 간 모임은 잠시 미루고 안전하게 수능 이후의 일정을 준비해달라”고 요청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