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고 있지만, 속은 울고 있는 ‘가면성 우울증’

김정화 기자
업데이트 2019-07-18 00:13
입력 2019-07-17 22:04

정두언 前의원처럼 강하고 독립 성향

감정 발산 못하고 불안…주변선 몰라
이미지 확대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정두언(62) 전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 의원이 지난 16일 서울 서대문구 야산에서 숨진 채 발견되면서 애도 물결이 이어지고 있다. 가까운 사람들조차 “그렇게 힘들어하는 줄 몰랐다”면서 황망함을 감추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극단적 선택의 징후를 드러내지 않는 우울증 환자가 많은 만큼 주변에 고위험군이 있을 때는 사소한 변화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17일 정 전 의원의 지인 등 관계자에 따르면 “예전부터 우울증을 앓았지만 최근까지도 죽음을 암시하는 징후는 거의 없었다”고 전했다. 정 전 의원은 지난해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2016년 총선에서 낙선했을 때 급성 우울증이 와 스스로 목을 맸다”면서 우울증 치료 사실을 털어놨다. 하지만 그는 사망 당일 오전에도 라디오 프로그램에 나오고, 각종 방송 프로그램에 고정 패널로 출연하는 등 정치평론가로서 활발히 활동했기에 주위의 충격이 더욱 크다.

정 전 의원처럼 겉으로는 밝고 화려해 보여도 속으로는 혼자 우울증을 앓다가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지난달 영화 개봉을 앞두고 전북 전주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배우 전미선(49) 역시 우울증을 앓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슬픔, 분노 같은 감정을 제대로 발산하지 못하고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가 ‘스마일 마스크 증후군’”이라면서 “밝은 모습을 유지해야 한다는 강박감이 큰 사람들일수록 이런 질환을 앓기 쉽다”고 설명한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자살자 중에는 성격이 강하고 독립적인 성향이 커 치료하기 전까지 우울증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주위 사람들이 모르는 경우가 많다”면서 “정 전 의원 역시 강단 있고 유능한 사람이었기 때문에 주변에서도 그렇게까지 외롭거나 힘들어한다는 생각을 못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진표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사회적 인지도가 높거나 명예를 중시하는 사람일수록 수치심을 느낄 만한 자극이 있을 때 자살 충동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과거 극단적 선택을 시도했던 사람의 3분의1 정도가 결국 자살로 사망한다는 연구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찰은 정 전 의원의 사망과 관련해 타살 혐의는 없다고 결론 내렸다. 또 유족의 뜻을 존중해 부검을 하지 않기로 했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19-07-18 17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