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포플러 나무 아래 추억은 먼 과거로/식물세밀화가
수정 2023-09-20 00:59
입력 2023-09-20 00:59
내 창문 속 이태리포플러처럼 누구에게든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만나게 되는 나무가 있지 않을까? 아파트 거실 창문으로 보이는 느티나무, 회사 각자의 자리에서 보이는 은행나무, 교실 창문 밖 양버즘나무처럼 그저 멀찍이서 존재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안정감이 드는 그런 나무 말이다.
이태리포플러는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포플러 종류가 아닐까 싶다. 이들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것은 1955년 이후이며 1962년부터 전국적으로 13만 그루 이상이 식재됐다는 기록이 있다.
과거 포플러를 우리 주변에 많이 심은 것은 빨리 자라는 속성수이며 펄프, 성냥갑, 담뱃갑 등의 재료인 효용성이 높은 나무이기 때문이었다. 포플러가 많이 심긴 1960~80년대 우리의 목표는 하루빨리 숲을 푸르게 만들고 국민 모두가 먹고사는 데 문제가 없도록 산업을 확장시키는 데에 있었다.
얼마 전 집 창고에서 옛 과일 상자를 발견했다. 아버지는 이 상자 목재가 포플러라고 말씀하셨다. 포플러 목재는 비교적 저렴하고 색이 희어서 상표나 문구를 찍기 좋고, 못이 한 번 박히면 잘 빠지지 않아 과일과 생선 상자로 많이 썼다고 한다. 포플러 성냥갑도 많아 우리나라에서 식재된 포플러 상당수가 성냥 회사에서 심은 것이란 이야기도 있다.
만약 내가 40~50년 전에 태어나 식물을 그렸다면 나는 포플러로 만든 화판에 그림을 그렸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이제는 포플러를 잘 심지 않는다. 그 이유는 우리에게 더이상 포플러가 필요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빨리 자라기만 하고 수명이 짧은 나무를 원하지 않는다. 더는 성냥을 쓰지도, 무거운 목재 상자에 과일과 생선을 유통하지도 않는다. 이들은 꽃이나 열매가 화려하지 않아 조경식물로서의 수요도 적다.
그간 포플러가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외래종을 심지 말자는 목소리에 천덕꾸러기 신세가 된 탓도 있지만 결정적으로 이들이 우리에게 더이상 필요한 나무가 아닐 뿐이다.
내 작업실에서 보이는 이태리포플러는 1970년대 하천에 줄지어 심어진 개체 중 하나이다. 처음 심어질 당시 그 나무 곁에는 많은 동료 나무가 있었으나, 동네가 신도시가 돼 아파트가 지어지고 공원이 조성되는 역사를 지나고 나서도 베어지지 않고 살아남은 유일한 포플러가 됐다.
또한 양버들 수형이 둥근 것은 가지가 위를 향해 많이 뻗기 때문이다.
어릴 때 듣던 가요 중에는 ‘포플러 나무 아래’가 있다. 오늘 아침 ‘포플러 나무 아래 나만의 추억에 젖네’라는 가사를 들으며 지금 시대에는 나올 수 없는 제목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포플러 아래에 서서 추억에 젖는 감성이 보편적으로 통할 수 있던 것은 포플러가 무성했던 1990년대 한국이기에 가능했을 뿐, 지금은 왕벚나무나 몬스테라가 포플러를 대신하고 나무라는 생물이 아닌 멋스러운 시설물이 현대인들에게 추억의 매개가 된다.
1965년 출간된 책 ‘포플러 재배’의 서론에는 이런 문장이 쓰여 있다. ‘소나무를 심어서 좋은 곳도 있고 이깔나무(잎갈나무)를 심을 곳도 있고 잣나무를 심어서 알맞은 곳도 있다. 또 어떤 곳에는 포플러를 심어서 이로운 곳도 있다. 그래서 우리는 나무의 적지를 골라서 원하는 종류의 나무를 식재해 보려는 것이다.’ 이 땅에 영원히 좋거나 나쁜 나무란 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2023-09-20 2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