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률의 아포리즘] 외로움이 가장 무섭다/서강대 교수(매체경영)
수정 2022-09-29 01:26
입력 2022-09-28 20:32
‘美 최고 지휘관’ 매티스 前 국방
가장 무서운 적은 사회적 소외감
그래서 약물중독 반대말도 연대
사람과 사람 연결이 가장 중요
그래서 ‘내 맘대로 조각’의 트럼프조차도 콕 집어 법규를 무시하고 국방장관에 임명했다. 그만큼 그에 대한 미국인들의 신뢰는 높다. ‘미친 개’란 별명은 강한 카리스마와 직선적인 화법 때문에 붙었다. 임명 당시 민주당과 공화당, 보수와 진보, 모두 ‘국방장관 매티스’에 동의했다. 트럼프 정부에서 일하기 싫다며 떠나겠다던 펜타곤(국방부)의 고위 공무원과 군인들도 ‘매티스가 온다면 남겠다’고 했다.
그런 그가 남긴 말 중에 유독 비군인적인, 의미심장한 말이 있다. “사람들 간의 신뢰와 호의의 결핍.” 그는 미국 국방장관으로서 가장 걱정되는 게 무엇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매티스의 답은 취재진의 기대와는 완전히 달랐다. 불량국가인 북한, 중국의 패권주의, 불안한 중동정세 등 미국이 통상적으로 걱정하는 것들과는 거리가 한참 멀었다. 전쟁터에서 돌아온 참전 군인들이 정신적으로 느끼는 사회적 소외감이 가장 큰 걱정거리라는 것이다.
나는 그의 말이 오바마 시절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의 주장과 상통한다고 평가한다. 게이츠는 탈레반, 이슬람국가(IS)에 고전 중인 미군에게 필요한 것은 물질적인 지원이 아니라 참전 군인에 대한 미국인들의 호의와 연대감, 나아가 세계인의 공감이라고 강조했다. 사람들의 우호적인 마음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매티스가 한 말에 대해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실제로 미국은 물론이고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호의, 신뢰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다. 20세기 들어 주목을 받았던 이 개념은 사회학자 로버트 퍼트넘이 정의했다. 사회적 신뢰, 자본이란 “개인 사이의 연결, 즉 사회관계망과 그 망으로부터 생성되는 호혜성”이라는 것이다.
사회적 자본이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대물이므로 사회적 자본의 감소는 바로 단절을 뜻한다. 관계의 악화 또는 끊김으로 사람을 연결하는 매듭 수가 감소하는 걸 의미한다. 문제는 이것이 정신적ㆍ신체적 건강에 치명적이라는 것이다.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중년 백인 자살률이 계속 늘고 있다. 이른바 절망의 죽음(death of despair)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사회적 호의, 유대감 결핍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유대감과 절망의 죽음 간 상관관계는 사실 오래전부터 얘기돼 왔다.
사회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프랑스의 석학 뒤르켐은 1897년 펴낸 책 ‘자살’에서 자살은 개인의 성격, 정신질환이 아니라 사회적 현상이라고 주장했다. 죽음은 사람들 간의 유대감이 상실될 때 주로 발생한다는 것이다. 2018년 세계보건기구(WHO)도 외로움이 전 세계 자살 위험과 깊은 인과관계가 있다고 발표했다. 그래서 외로움에 힘겨운 사람들이 약물중독에 이르고 결국은 죽음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그래서 ‘약물중독의 반대말은 제정신이 아니라 사회적 유대, 연대감이다’라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내가 좋아하는 저명 심리학자 김정운은 ‘가끔은 정말 격하게 외로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는 다 가진 특별난 사람들에게 해당될 뿐. 평범한 중년 남자의 외로움은 정말 위험하다. 그래서 외롭지 않으려고 온종일 돋보기 올리고 찡그린 눈으로 손바닥만 한 휴대폰에 얼굴을 처박고 ‘좋아요’를 날리고 있는 것이다. 붉은 칸나꽃 위에 가을볕이 부서진다. 그래도 가을이라고 외로움을 타면 안 된다.
2022-09-29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