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칼럼] 집 고치는 친구/황두진 건축가

업데이트 2021-04-09 01:49
입력 2021-04-08 20:16
이미지 확대
황두진 건축가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친구가 큰 결심을 했다. 오래된 작은 아파트를 이번에 새로 고치기로 했다는 것이다. 그것도 전문가 도움 없이 직접 진두지휘하겠단다. 겉으로는 예산 부족이 이유였지만, 자기 세계를 온전히 자기 힘으로 만들어 보겠다는 생각이 읽혔다. 다들 바쁘게 사는 세상에 보기 드문 경우다. 의식주 중에서도 특히 주(住)는 이미 개인의 손을 떠나 시장에 맡긴 지 오래 아닌가. 그에게 상의하고 싶은 일이 있으면 연락 달라고 했다. 집은 원래 수많은 대화를 통해 이른바 ‘말로 짓는’ 것이니, 적어도 말 상대는 돼 보겠다고 자청한 것이다.

단독주택과 아파트는 고치는 일의 성격이 사뭇 다르다. 집의 상태가 비슷하다면 단독주택의 난도가 더 높다. 집의 안과 밖은 물론 외부 공간까지 범위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거기에 각종 배관이나 설비까지 더하면 사실상 어지간한 규모의 사무용이나 상가 건물을 고치는 것보다 더 어렵다. 아파트는 좀 다르다. 일단 외부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은 외관을 함부로 바꿀 수도 없다. 결국 내부에만 집중하면 된다. 하지만 공사 중의 소음이나 진동이 바로 이웃에게 전달된다는 점에서 그 나름의 어려움이 없는 것은 아니다. 그래도 친구가 고치려는 것이 단독주택이 아니고 아파트인 것은 다행이었다.

이후 가끔 연락이 왔다. 서울 강남 자재상들을 돌아다니고 있다고 했다. 알 만한 브랜드의 고급 제품 중 유행이 지난 것들을 재고떨이 수준의 가격에 파는 곳이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각 브랜드의 디자인 철학이 어떤 점에서 다른지, 특정 디테일이 만들어진 이유는 무엇일지 자기 나름의 관찰과 생각을 이야기했다. 물질자본에 비해 문화자본이 월등한 사람이 세상을 즐기는 방법이었다. 심지어 친구는 코로나 이전 유럽에 출장 갔다가 사 온 전기 스위치를 자랑스럽게 보여 줬다. ‘언젠가는 집을 고칠 것 같아서’ 사 왔다는 것이다. 비싸지 않아도 색다른 재료를 써 보고 싶었단다. 직접 만져 보니 세상에, 도기로 만든 것이었다. 디자인은 단순하지만 품위와 개성 면에서 아주 훌륭한 선택이었다.

또 연락이 왔다. 드디어 철거를 시작했단다. 그러니까 친구는 이제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넌 셈이었다. 천장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물어서, 뜯으라고 했다. 아니나 다를까, 꼭대기 층인데 단열이 없다고 했다. 하지만 덕분에 층고가 40센티미터 이상 높아졌다며 그것만으로도 즐거워했다. 단열재를 붙이고 마감을 하면 그만큼 비용이 추가되겠지만 그건 어떻게 감당하겠다고 했다. 조명만큼은 아주 좋은 걸 하나 구해서 설치하라고 조언했다. ‘바닥이나 벽에 투자하면 자기가 즐겁지만, 천장에 투자하면 길에서 보이니까 이웃도 즐겁다’는 이유를 댔다. 가뜩이나 예산이 빠듯한 사람에게 ‘네 이웃을 사랑하라’고 설교한 셈인데, 다행히 친구는 기꺼이 공감해 줬다.

어느 날 일과를 마친 후 그 친구가 홀로 세상과 맞서는 그 현장을 찾았다. 1971년에 지은, 그러니까 올해로 50살 된 아파트였다. 겉은 낡았지만, 다행히 구조는 건강했다. 아마 공기가 좋은 곳이어서 그랬을 것이다. 건물도 사람처럼 이런 것들의 영향을 받는다.

전기도 끊어진 아파트 내부는 천장을 뜯어낸 탓에 유난히 껑충한 느낌이었다. 설계를 하고 현장을 다니는 것이 업이지만 이렇게 마음은 가되 이해관계는 없는 현장이 주는 독특한 해방감이 있었다. 어차피 말로 거드는 일, 여기는 이렇게 하고, 저기는 저렇게 하고, 둘이서 한참 동안 말로 집을 고쳤다. 친구는 ‘내 손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집’을 진심으로 원했노라고 했다. 그런데 그는 그 생각을 정말로 실천에 옮기는 중이었다.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 내 앞에서 씩 웃고 있었다. 그의 말 상대가 되길 정말 잘했다.
2021-04-09 29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