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이·박·최…’ 이 많은 성씨는 정말 중국에서 왔을까?

장민주 기자
업데이트 2021-01-25 13:49
입력 2021-01-25 13:26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성씨는?
‘천방지축 마골피’라고 하지만 사실 천성은 없어
“뿌리의 이해가 곧 한국사”

직장인 예상현씨는 최근 업무차 만난 상대에게 불쾌한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상대가 자신의 명함을 보고 “예씨는 중국 성 아니에요?”라고 물었기 때문이다. 자신의 본관이 중국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지만 불쾌한 내색을 할 수 없었다. 상대적으로 희귀 성씨인 ‘예씨’를 처음 본 것이라 생각하고 웃어넘겼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성씨는 무엇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예상했듯이, ‘김씨’다. 2015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김씨가 전체 인구의 21.5%로 1위, 이어 이씨(14.7%), 박씨(8.4%), 최씨 (4.7%), 정씨(4.3%), 강씨(2.4%), 조씨(2.1%), 윤씨(2.1%), 장씨(2.0%), 임씨(1.7%) 순이었다. 특히 이 상위 10개 성씨의 합이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63.9%를 차지하고 있으며 10개 성씨 외에도 총 286개의 성씨가 있다. 286개의 성씨에서 각 성씨의 본관까지 나누면 5,582개나 된다.

이에 대해 김진우 한국성씨연구소장은 “성씨는 출생의 혈통을 나타내거나 한 혈통을 잇는 겨레붙이를 가리키는 말이다. 본관 역시 성(姓)의 출자지 또는 시조의 거주지를 통해 혈통 관계와 신분을 나타내는 관습 제도”라며 “우리의 성과 본관이 흔히 중국식을 모방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아니다”고 말했다. “오래전부터 중국과 교류하면서 중국의 성씨를 가져와 한국화한 것이지 절대 모방한 것이 아니며, 이는 사대주의적 관점”이라고 지적했다. 또 현재 5,582개의 본관에 대해 “최근 들어 다문화‧다민족의 영향으로 귀화 성씨가 늘어났다. 5,582개의 본관 중 4,075개가 귀화 성씨”라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국내에서 가장 많은 성씨 TOP10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이어 김 소장은 “성씨의 사용은 삼국시대 왕실을 시작으로 신라 말~고려 초 정도가 되어서야 본격적으로 일반 평민에게까지 보급되었다. 누구나 성과 본관을 가지게 된 것은 1909년 민적법 시행 이후다. 하지만 성씨 기원의 기준을 왕실로 잡느냐, 일반 평민으로 잡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우리나라 최초의 성씨라고 하면 고조선 때의 청주 한씨, 행주 기씨, 태원 선우씨를 그 기원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대학생 마지윤씨는 “성이 특이해서 어렸을 때부터 ‘마늘’, ‘마징가’ 등의 별명으로 놀림을 많이 받았다”며 “특히 ‘천방지축마골피’라며 천민 성씨가 아니냐는 이야기도 들었다”고 속상함을 토로했다.

그렇다면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양반 성씨’, ‘천민 성씨’가 따로 있을까? 이에 대해 김 소장은 “문관이나 무관을 배출하는 집안을 ‘양반’이라고 하는데, 사실 천성은 없다. 즉, 양반이 아닌 가문은 없다는 뜻”이라며 “양반 배출의 숫자가 많고 적음의 차이일 뿐이지 천성은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언급했듯이 우리나라 10대 성씨가 전체 인구의 약 64%를 차지하지만, ‘피·두·국·예·경·봉·사·부·황보·목·모·빈·반·계·마·사공·제갈·독고·감·음·동·좌·형·온·전·범·승·간·서문’ 등 비교적 적은 점유를 보이는 성씨도 많다.

예상현씨는 “흔하지 않다 보니까 몇 번을 되물어보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전화로 이름을 말하면 상대가 몇 번 되물어보고, 결국 제가 ‘ㅕ+ㅣ(예)’라고 설명해야 알아들으시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마지윤씨 역시 “마씨가 어감상 강해 보여서 그런지 드라마나 영화에 등장하는 조직폭력배나 사기꾼 같은 역할이 마씨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그때마다 마씨가 강한 캐릭터로 자리잡히는 것 같아 속상한 적도 있었다. 하지만 성이 특이하다 보니까 사람들에게 쉽게 각인된다는 장점도 있다. 오히려 하나의 개성이 된 것 같아 지금은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진우 소장은 “성과 본관 제도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아주 특이하고 특징적인 체계다. 성과 본관을 ‘뿌리’라고 하는데 자신의 뿌리를 모르는 사람은 그 뿌리를 거둘 수 없다”며 “가장 한국적인 문화 유전자인 자신의 성과 본관을 아는 것이 곧 한국사를 아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글‧영상 장민주 인턴기자 goodgood@seoul.co.kr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