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 풀린 軍 감지기 부품…너무 쉬웠던 ‘철책 귀순’

이주원 기자
업데이트 2020-11-26 11:00
입력 2020-11-26 11:00

당국,과학화경계시스템 ‘먹통’ 원인 발표
귀순자, 철책 사이 연결 기둥 타고 넘어
감지유발기 건드렸지만 ‘무게’ 인식 못해

이미지 확대
과학화 경계시스템
과학화 경계시스템 육군 한 부대 일반전초(GOP) 철책에 과학화경계시스템이 설치된 모습. 철책에 광망과 함께 그 위로 Y자 형태의 감지 브라켓과 감지 유발기가 있다.
육군 제공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지난 3일 북한에서 귀순한 A씨가 강원 고성 지역 철책을 넘을 당시 군 과학화경계시스템 일부 부품에 결함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군 당국은 지난 24일 동부전선 일반전초(GOP)에서 기자단을 대상으로 귀순 사건 당시 과학화경계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았던 배경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현재 전방 지역 철책에는 과학화경계시스템이 설치돼 있다. 줄어드는 현역 인력을 대신할 첨단 경계 장비가 2016년부터 서부전선을 시작으로 설치가 추진됐다.

과학화경계시스템은 철책 안쪽에 검은색 광망이 철책과 붙은 형태로 촘촘히 깔려 있다. 사람이 철책을 잡거나 밟아 광섬유에 절곡이 생기면 상황실에 비상벨이 울린다. 그러나 A씨는 철책이 아닌 철책과 철책이 연결된 기둥을 타고 올라갔기 때문에 광망에 충분한 압력을 가하지 않았다.

철책 위로는 Y자 형태로 150cm의 ‘감지 브라켓’과 24cm의 ‘감지 유발기’가 설치돼 있다. 모두 일정 수준의 무게를 받으면 이를 인지하고 비상벨을 울리도록 돼 있다. 하지만 A씨가 철책을 넘을 당시에는 감지 유발기가 작동하지 않았다. 감지 유발기 안에 나사가 바람 등으로 풀리며 느슨한 상태였기 때문이다. A씨는 감지 유발기를 건드렸지만 압력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다는 게 군 당국의 설명이다.

게다가 해당 지역 철책에는 감지 브라켓도 설치돼 있지 않았다. 부대 관계자는 “감시 브라켓은 통상 적의 침투가 용이한 지역에 설치돼 있지만 해당 지역은 침투가 쉬운 지역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동안 업체와 군은 감지 유발기를 점검하며 외형만 확인했을 뿐 내부 부품은 확인하지 않았다. 군 당국은 전수 조사에서 일부 감지 유발기에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고, 부품 결함 발생 가능성이 없는 감지 유발기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동부전선 지형
동부전선 지형 지난 3일 귀순한 A씨가 철책을 넘은 뒤 도주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동부전선의 지형. 계곡이 많고 높은 고지의 산들로 이뤄져 있다.
사진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한편 군은 이번 사건이 ‘작전실패’는 아니라는 주장이다. 동부전선은 평지가 많은 서부전선과는 달리 험준한 산악 지형으로 이뤄져 감시 사각지대가 많다. A씨가 철책을 넘는 순간을 열영상감시카메라(TOD)로 실시간 포착했지만 바로 감시장비가 닿지 않는 곳으로 사라져 추적이 불가능했다. 현장에서 신병 확보를 하지 않은 것도 소초에서 병력이 철책으로 출동한다면 지형상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후방 지역에 도주로를 먼저 차단한 뒤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내에서 검거하는 ‘종심작전’이 더 효율적이란 설명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1차적으로 비무장지대(DMZ) 안에서 신병을 확보하는 귀순 유도 작전을 성공했어야 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군 관계자는 “취약지역에 감시장비를 추가 보강하거나 교체하고, 운용자 교육 및 과학화경계시스템 성능 개량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