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장미덩굴 뒤에는

업데이트 2020-06-04 02:23
입력 2020-06-03 22:42
이미지 확대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비로소 장미의 계절이다. 주택가 담장을 따라, 아파트 울타리를 따라 붉은 장미가 한창 만개 중이다. 올해처럼 도심의 장미가 주목받던 시기가 있었나 싶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장미축제는 모두 취소됐고, 나들이를 자제해야 하는 시기이기에 사람들은 일상에서 만나는 장미를 더욱 반길 수밖에 없다.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장미속 식물에는 해당화, 찔레나무, 인가목, 생열귀나무 등이 있다. 그림은 해당화.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장미가 피는 이 계절이면 자동적으로 장미를 그림으로 기록한 식물세밀화가 피에르 조셉 르두테가 떠오른다. 식물세밀화를 그린다고 하면 사람들은 종종 르두테 이야기를 꺼낸다. 프랑스에서도 그랬다. “당신은 르두테와 같은 일을 하는군요.” 신기하게도 특별히 식물에 관심 있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모두 르두테를 알고 있었다.

그는 벨기에서 태어나긴 했지만 프랑스를 기반으로 활동하였고,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식물세밀화가다. 식물을 기록하는 일을 할 뿐인 르두테가 유독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이유는 그의 어마어마한 후원자 리스트 덕분인데, 그중엔 마리 앙투아네트와 나폴레옹의 아내 조세핀도 있었다. 물론 이 이유뿐만은 아니다. 그는 장미 역사상 중요한 그림 기록을 남겼다.
이미지 확대
장미는 화장품과 향수 원료로서의 역사도 길다. 그림은 2017년 우리나라 화장품 패키지용으로 그렸던 장미.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장미의 역사는 1867년을 기점으로 나뉜다. 1867년에는 ‘라 프랑스’라는 분홍색 장미가 발표됐다. 우리가 현재 이용하는 하이브리드티의 최초 품종으로, 1867년 전까지 인류는 대개 장미 원종이나 자연적으로 개량된 장미만을 즐겼다. 하이브리드티의 탄생 후 그전에 존재했던 고전 정원장미는 점차 사라졌다. 사람들은 기존에 보지 못한 새롭고 이색적이며 특별한 품종을 원했기 때문이다. 이제 고전 정원장미는 보존을 위해 일부 장미 애호가들에 의해 재배될 뿐, 우리는 이들을 실제로 만날 일이 잘 없다. 그저 그림 기록으로 볼 수 있다. 르두테는 바로 이 고전 정원장미의 그림 기록을 남겼다. 그가 그린 고전 정원장미 컬렉션 ‘장미들’은 1917~1924년 세 권의 책으로 출간되었고, 현재까지 식물학적, 예술적 기록으로서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용 액자로서까지 널리 활용된다.

르두테의 그림을 보면서 내가 궁금한 것은 따로 있었다. 과연 그는 이 많은 장미 생체를 어디에서 구해 보고 그렸을까? 식물세밀화가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과제 두 가지는 무엇을 그릴 것인가, 그리고 식물을 어디에서 구하느냐다. 요리사는 식재료 없이 요리를 할 수 없고, 신선한 고품질 식재료만 있다면 최소한의 조리로도 훌륭한 맛을 낼 수 있듯이 식물세밀화가 또한 재료인 식물 생체 없이는 그림을 그릴 수 없고, 꽃부터 뿌리까지 완벽한 형태의 생체가 있다면 큰 수고로움 없이 그림을 완성할 수 있다.

르두테가 그린 장미는 약 168종이며 그림 속 장미들은 세계 곳곳을 원산지로 하는 주요종이다. 그가 짧은 시간 세계를 항해하며 이 모든 장미 생체를 수집해 그렸을 리 만무한 일. 이미 누군가 수집한 장미를 그린 것이 분명했다. 르두테는 표본이나 스케치를 거의 남기지 않아 개별적인 그림 속 식물 출처를 알 순 없지만 그가 그린 장미는 파리 외곽에 위치한 말메종 정원이 출처라는 것이 잘 알려진 사실이다. 말메종은 나폴레옹의 첫 번째 아내 조세핀이 인생의 마지막을 지낸 집이다. 르두테는 자신의 후원자였던 조세핀의 장미 정원에 식재된 생체를 재료로 그림을 그렸다.

그렇다면 조세핀은 그 많은 장미를 정원에 왜 심었을까? 당시 프랑스에서는 장미가 현금처럼 거래되고 투기의 대상이기도 했으나 여러 기록을 보아 조세핀은 태초부터 장미를 사랑한 사람이다. 사람들은 그를 ‘로즈’라 불렀고, 그는 세계 곳곳의 장미 재배자들과 교류해 자신의 능력 안에서 세계의 장미를 말메종에 수집했다. 말메종의 장미 정원은 오로지 조세핀의 장미 사랑, 수집의 욕구가 만들어 낸 하나의 장미 박물관이고, 조세핀은 르두테에게 이 장미를 기록하도록 도왔다.

그러니 르두테의 장미 컬렉션은 오직 르두테 혼자서 완성한 것은 아닌 셈이다. 기록을 위해 희생된 수많은 장미 송이와 그들을 수집해 식재하고 재배한 가드너, 이 모든 일을 기획한 조세핀이 함께했다. 식물을 공부하고부터는 만나는 식물들마다 이 꽃 한 송이가 피어나기까지 지나온 수많은 사람들을 떠올리게 되었다. 이 품종의 원종을 발견해 이름을 붙인 식물학자와 관상적 가치를 예견해 새로운 품종으로 탄생시킨 육종가, 그리고 수많은 장미 중 굳이 이 종을 선택해 모종을 심은 가드너 혹은 담장 너머 장미 덩굴의 주인인 내가 모를 동네 어르신까지. 지금 피어나는 장미에는 이 많은 사람들의 손길이 묻어 있다. 이 모든 걸 떠올리다 보면 장미를 실컷 볼 수 있는 이 계절이 참 소중하게 느껴진다.
2020-06-04 29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