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기본권은 남 얘기’, 못 자고 못 먹는 방송스태프의 열악한 노동환경

업데이트 2020-01-20 17:18
입력 2020-01-16 15:31

지난해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에 이어 92회 아카데미 시상식 6개 부문 최종 후보에 오른 영화 ‘기생충’은 작품성 뿐 아니라 노동인권 측면에서도 화제를 모았다. 제작스태프와 표준근로계약서를 작성해 근로시간과 적절한 휴게시간을 준수하며 촬영을 진행한 게 알려지면서다. 영화계의 이같은 ‘정치적 올바름’ 행보는 방송·드라마 제작 현장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의 촬영장은 노동기본권 실종 상태다.

노동기본권은 노동자의 생존을 확보하기 위해 보장하는 기본권 전부를 말한다. 노동자가 생존하려면 식사는 물론 적절한 휴게시간 확보가 필수적이지만, 현실에선 잘 실현되지 않고 있다. 배우들의 인터뷰나 예능 프로그램에서 ‘밤샘 촬영’이라는 고강도 노동이 신변잡기식 에피소드로 취급될 만큼 관련 인식도 성숙하지 못한 상태다.

이미지 확대
촬영현장. 연합뉴스.
촬영현장. 연합뉴스.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관행이란 무게에 눌려 현장에서 직접 문제제기가 이뤄지는 경우는 드물지만, 실상 밤샘 촬영은 ‘노동착취’다. 촬영장 속 스태프들은 인간의 기본 욕구인 수면과 식사를 참아야 한다. 희망연대노조 방송스태프 지부는 하루 근로시간을 평균 16~18시간으로 표준계약서를 권고 했지만, 이 시간 자체가 하루 24시간의 3분의 2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장시간 노동인데다 이를 초과하는 경우도 많다. 과거 19년 동안 영상 후반작업에 종사했던 한 스태프는 “잠을 자지 않고 최대 150시간 까지 일을 한 적도 있다”고 털어놨다.

제작사가 표준근로계약서를 수용할 지도 여전히 미지수다. 스태프들이 근로계약서 작성을 요구하면 다른 팀과 계약하는 사례도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다고 스태프노조 측은 귀띔했다. 최근 인기작인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일부 스태프는 종영 때까지 근로계약을 맺지 못한 채 일했다.
이미지 확대
‘2019 방송제작 노동환경 실태조사’ 노동시간 관련 설문조사 결과.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 방송제작 노동환경 실태조사’ 노동시간 관련 설문조사 결과. 한국콘텐츠진흥원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이미지 확대
‘2019 방송제작 노동환경 실태조사’ 방송제작환경 관련 설문조사 결과.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 방송제작 노동환경 실태조사’ 방송제작환경 관련 설문조사 결과. 한국콘텐츠진흥원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근로시간 외에도 근로량, 보수 수준, 복리후생, 작업환경 안정성 등 많은 부분에 문제가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19년 방송제작 노동환경 실태조사’ 보고서를 보면 방송제작 참여 기간 동안 평균 노동시간은 주 58.5시간으로 근로기준법이 정한 기본 근로시간인 40시간을 훌쩍 넘는다. 그나마 전년도 평균 주당 노동시간 67.3시간보다는 줄었지만, 지난해 조사에서도 여전히 가장 많은 노동시간을 묻는 답변에 평균 주 75.2시간이란 ‘기록적 수치’가 나오기도 했다. 일주일 평균 노동일수는 5.4일로, 역시 전년도 평균 주 5.7일보다 단축됐다. 개선되고 있는 모습이지만 밤에 근무하는 시간이 많고 불규칙한 근무 여건 문제는 여전히 해결 기미가 잘 안보이고 있다.

노동인권이 존중받지 못하는 현장은 드라마 제작현장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 관행이란 이름의 근로시간 연장이 만연하고 휴게시간 보장이 이뤄지지 않는 제작 환경에서 방송 콘텐츠의 질이 나빠질 것이란 얘기다.

‘기생충’은 표준계약서를 작성하고 스태프들의 노동인권을 보장하면서도 좋은 성적을 거둔 작품으로 기록되고 있다. 방송, 영화 일터에서 모든 제작 스태프들이 기생충의 사례를 본받게 됐다는 ‘기분좋은 소식’을 기대한다.

이상훈 PD kevin77@seoul.co.kr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