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울린 딸의 편지 ‘위안부였던, 사랑하는 엄마에게’ [전문]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업데이트 2019-08-14 18:29
입력 2019-08-14 13:37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식

배우 한지민, 위안부 피해자 유족 편지 대독
“반드시 엄마의 못다 한 소망을 이뤄내겠다”


이미지 확대
편지 낭독하는 한지민
편지 낭독하는 한지민 14일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정부 기념식에서 배우 한지민이 위안부 피해자의 유족들이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를 대독하고 있다. 2019.8.14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편지 낭송하는 한지민
편지 낭송하는 한지민 배우 한지민이 14일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2019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행사에서 피해자 유족의 마음이 담긴 편지를 대독하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은 1991년 8월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학순 할머니가 위안부 피해 사실을 처음으로 공개 증언한 날을 기념하고 김 할머니의 용기와 뜻을 이어받고자 지정됐다. 2019.8.14/뉴스1
이미지 확대
14일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위안부 기림의 날에 참석한 진선미 여가부 장관이 기념사를 하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2019.8.14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이미지 확대
14일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위안부 기림의 날에 참석한 위안부 할머니들가 진선미 여가부장관과 포옹을 하고 있다. 2019.8.14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이미지 확대
14일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위안부 기림의 날에 참석한 위안부 할머니들이 문화공연을 보고 있다. 2019.8.14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이미지 확대
14일 오후 서울 중구 남산회현자락 옛 조선신궁터 부근에서 열린 3?1운동 100주년 기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행사에서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기림비 동상을 어루만지고 있다. 이 동상은 위안부 피해 사실을 최초 공개증언한 고 김학순 할머니와 한국, 중국, 필리핀 세 명의 소녀 동상 모습으로, 지난 2017년 미국 대도시 최초로 위안부 기림비가 세워지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알린 샌프란시스코의 교민들이 자발적으로 뜻을 모아 제작해 서울시에 기증한 것이다. 2019.8.14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이미지 확대
14일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위안부 기림의 날에 참석한 시민이 기념공연을 보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2019.8.14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이미지 확대
14일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위안부 기림의 날에 참석한 위안부 할머니들이 합창단 어린이들의 선물을 받고 있다. 2019.8.14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이미지 확대
14일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위안부 기림의 날에 참석한 시민이 기념공연을 보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2019.8.14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이미지 확대
14일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위안부 기림의 날에 참석한 위안부 할머니들이 합창단 어린이들의 선물을 받고 있다. 2019.8.14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이미지 확대
14일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위안부 기림의 날에 참석한 위안부 할머니들이 합창단 어린이들의 선물을 받고 있다. 2019.8.14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이미지 확대
14일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위안부 기림의 날에 참석한 위안부 할머니와 시민이 묵념을 하고 있다. 2019.8.14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이미지 확대
14일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위안부 기림의 날에 참석한 위안부 할머니들들이 행사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2019.8.14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철없는 저는 엄마가 부끄러웠습니다. 가엾은 우리 엄마. 미안하고 죄송합니다. 그 깊은 슬픔과 고통을 안고 얼마나 힘드셨을지 생각하면 가슴이 아파 옵니다.”

14일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정부 기념식에서 위안부 피해자의 유족들이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 한 통이 낭독됐다. ‘위안부였던, 나의 사랑하는 엄마에게’라는 제목을 단 편지는 배우 한지민이 대신 낭독했다.

여성가족부는 2명 이상의 유족을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편지를 완성했다. 다만 인터뷰에 응한 유족들이 신원 노출을 극도로 꺼려 한씨가 낭독하는 것으로 대신했다.

편지 주인공은 어머니가 매주 수요일 광화문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리는 수요집회에 참여한 때를 상기한다. 딸은 “처음에는 엄마가 어디 가시는지조차 몰랐다”라면서 “아픈 몸을 이끌고 미국과 일본까지 오가시는 것을 보면서 엄마가 겪은 참혹하고 처절했던 시간을 하나씩 하나씩 자세하게 알게 됐다”고 말했다.

어머니는 딸에게 부탁한다. “끝까지 싸워다오. 사죄를 받아다오. 그래야 죽어서도 원한 없이 땅속에 묻혀 있을 것 같구나. 이 세상에 다시는 전쟁이 없어야 해. 다시는 나 같은 아픔이 없어야 해.”

유족은 “엄마는 그렇게 바라던 진정한 사죄도, 어린 시절도 보상받지 못하고 우리 곁을 떠났다”며 “이러한 아픔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저희가 이어가겠다. 반드시 엄마의 못다 한 소망을 이뤄내겠다”라고 다짐했다.

대독 영상을 접한 네티즌들은 “너무 슬퍼 끝까지 볼 수가 없다”, “마음 한켠이 뭉클해진다”, “그 뜻을 저희도 잘 이어나가겠습니다”라며 큰 호응을 보내고 있다.

아래는 편지 전문.

엄마 나이 열일곱, 전쟁 때 다친 사람들을 간호하러 가신 게 아니구나. 누군가에게 강제로 끌려가 모진 고생을 하신 거구나. 어렴풋이 짐작만 할 뿐이었습니다.

뼈가 튀어나올 정도로 다친 어깨와 허리 때문에 팔을 들어올리지도 못하시는 엄마를 보면서도 무엇을 하다 그렇게 심한 상처를 입으신 건지 엄마한테는 차마 물어보지 못했습니다.

겁이 났습니다. 그런 일들이 있었다는 것이 무섭기만 했고 그 많은 사람들 가운데 하필이면 우리 엄마가 겪은 일이라는 게 더 무섭고 싫기만 했습니다. 혹시라도 내 주변 친구들이 이런 사실을 알게 되면 어쩌나 그저 두렵기만 했습니다.

엄마는 일본말도 잘하시고 가끔은 영어를 쓰시기도 하셨지만 밖에 나가서 이야기를 하실 때는 전혀 사용하지 않으셨습니다. 어디 가서 다른 사람들에게는 엄마 얘기를 절대 해서는 안 된다며 제게도 항상 신신당부 하시곤 했었죠. 그렇게 세월이 흘렀습니다.

아무것도 모른 채 아니, 어쩌면 저는 아무것도 알고 싶지 않았던 것 같아요. 그래서 애써 외면했습니다. 제가 알게 된 엄마의 이야기를 모른 체하고싶었습니다. 철없는 저는 엄마가 부끄러웠습니다.

가엾은 우리 엄마. 미안하고 죄송합니다. 그 깊은 슬픔과 고통을 안고 얼마나 힘드셨을지 생각하면 가슴이 아파 옵니다.

엄마. 엄마가 처음으로 수요 집회에 나갔던 때가 떠오릅니다. 처음에는 어디 가시는지조차 몰랐던 제가 그 뒤 아픈 몸을 이끌고 미국과 일본까지 오가시는 것을 보면서 엄마가 겪은 참혹하고 처절했던 시간들에 대해 하나씩 하나씩 자세하게 알게 되었습니다.

엄마가 생전에 하시던 말씀이 생각납니다. 끝까지 싸워다오. 사죄를 받아다오. 그래야 죽어서도 원한 없이 땅속에 묻혀 있을 것 같구나.이 세상에 다시는 전쟁이 없어야 해. 다시는 나 같은 아픔이 없어야 해.

엄마는 강한 분이셨어요. 그러나 엄마는 그렇게 바라던 진정한 사죄도, 어린 시절도 보상받지 못하시고 우리 곁을 떠났습니다. 살아있는 모든 순간이 고통과의 싸움이었을 엄마를 생각하며 저는 울고 또 울었습니다.

엄마. 끝내 가슴에 커다란 응어리를 품고 가신 우리 엄마. 모진 시간 잘 버티셨습니다. 이런 아픔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저희가이어가겠습니다. 반드시 엄마의 못다 한 소망을 이루어내겠습니다. 이제 모든 거 내려놓으시고 편안해지시길 소망합니다.

나의 어머니. 우리 모두의 어머니. 사랑합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