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초 인터뷰] “위안부 만행 사죄하라” 일본서 1인 시위 나선 서영근씨

수정: 2019.01.15 10:03

확대보기

▲ 서영근(44)씨가 지난해 4월 11일 일본 국회의사당 앞에서 ‘일본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 앞에 진정으로 사죄하라!’고 쓴 피켓을 들고 있다. 서씨는 지난해 3월부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명예회복과 일본의 사과를 요구하며 일본 현지에서 1인 피켓 시위를 펼치고 있다. [사진=서영근씨 제공]


‘일본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 앞에 진정으로 사죄하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명예회복과 일본 국가의 사과를 요구하며 일본 현지에서 1인 피켓 시위를 하는 한 남자가 있다. 그 주인공은 두 딸의 아버지이자 한 여성의 남편인 서영근(44)씨다. 그는 자신을 ‘솔란 아빠’라고 소개했다. 첫째 예솔(18, 고림고3)이와 둘째 예란(12, 용천중1)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아이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아빠가 되겠다는 약속이자 ‘다짐’”이 담겨 있다. 지난 10일 서영근씨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해곡동 그가 운영하고 있는 식당에서 만났다.

그의 1인 시위는 지난해 3월부터 시작됐다. 지금까지 그는 3차례 일본을 찾았다. 도쿄에 있는 일본 국회의사당과 도쿄도청사, 도쿄대학, 각 방송국 앞에서 피켓을 들었다. 또 피켓을 단 자전거를 타고 오사카 시내를 달리며 시위를 벌였다. 국내가 아닌 일본에서 1인 시위를 하는 이유에 대해 서씨는 “간단하다. ‘그들이 잘못한 일’이다. 일본에 직접 가서 ‘사죄하라’고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했다”고 답했다.

확대보기

▲ 지난 1일 소녀상이 새겨진 옷을 입고 일본을 방문하기 위해 인천 국제공항을 찾은 서영근씨 가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서영근씨와 그의 막내딸 서예란, 부인 이은실씨, 큰딸 서예솔. [사진=서영근씨 제공]

서씨는 우연한 기회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게 관심을 갖게 됐다. 김용한 영화감독의 뮤지컬 ‘여명의 눈동자’ 제작 소식을 듣고 가진 자리에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이야기 듣게 된 것이다. 그때부터 그는 자신이 잘 알지 못했던 위안부 자료를 찾아보기 시작했다. 그리고 매주 수요일에는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리는 ‘수요집회’에 참가했다. “추운 날 수요집회에 참가한 아이들을 보고 부끄럽다는 생각이 들었다”는 그는 “늦었지만 두 딸을 가진 아빠로서 할 수 있는 게 무엇일까를 고민했고, 그때부터 1인 시위를 계획하게 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막상 일본에서 1인 시위를 하려다 보니 두려움이 앞섰다. 서씨는 “만일의 경우, 일본 극우세력의 공격에 대비해 복대를 두 개나 차고 갔다”며 긴장했던 심경을 밝혔다. 당시 그는 가족에게조차 비밀로 했다. “처음에 도쿄와 오사카를 갈 때, 솔직히 사고를 당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가족에게 말하지 못했다. 그러나 누군가는 해야 하는 일이기에 용기를 냈다”며 “무엇보다 하지 않으면 후회할 것 같았다”고 설명했다.

지금은 그의 가족이 가장 든든한 지원군이다. 새해 첫날인 지난 1일에는 가족 모두 위안부 소녀상이 새겨진 옷을 입고 일본을 찾았다. 서씨의 다양한 시위 방식 중 하나다. 그는 “가족에게 소녀상을 옷에 새겨 우리의 마음을 보여주는 게 어떻겠냐고 조심스럽게 물었다. 그런데 가족 모두 흔쾌히 승낙하면서 멋진 추억을 가지고 돌아오게 됐다”고 고백했다.

확대보기

▲ 서영근씨가 지난해 4월 12일 주일 한국대사관 앞에서 ‘일본 정부는 위안부 피해자 앞에 진정으로 사죄하라!’고 쓴 피켓을 들고 1인 시위를 하던 중 일본 경찰에 둘러싸여 있다. [사진=서영근씨 제공]

하지만 시위를 하면서 우리 대사관의 냉랭한 태도에 실망감을 느꼈다. 그는 “도쿄대학과 도쿄도청사에서 시위를 마친 날, 지친 상태로 주일 한국대사관을 찾았다. 물을 좀 얻어 마시고 화장실을 쓸까 해서였다. 그런데 경비를 보시는 분이 여기는 아무나 들어오는 곳이 아니다”라며 그를 통제했다. 사실상 문전박대다.

이에 서씨는 “애초에 대사관 앞에서 시위할 생각이 없었지만, 이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대사관 건너편에서 피켓을 들었다. 시위 시작 1시간 후 대사관 직원이 나왔고, 그가 건넨 첫 질문은 ‘왜 왔느냐’, ‘왜 피켓 시위를 하느냐’였다”며 “‘위협받은 적은 없는지’, 혹은 ‘뭘 도와주면 되는지’ 같은 질문을 할 줄 알았는데, 일본 경찰 눈치를 보는 듯한 직원의 모습이 굉장히 마음 아팠다”고 덧붙였다.

이어 서씨는 대사관 직원들을 향해 “위험한 일을 당했을 때, 영화에서는 대사관에서 숨겨주고 보호해주는 것을 봤다. 힘들게 우리 대사관을 찾아갔는데, 어떻게 물 한 모금 안주고 화장실조차 사용할 수 없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며 “물론 담당자 분이 잘 몰라서 그럴 수도 있지만, 다음부터는 조금 따뜻하게 맞이해 주시고, 물 한 잔 정도 주시면 정말 감사할 것 같다”며 부탁의 말을 보탰다.

다행히 일본에서의 시위 중 서씨에게 나쁜 기억만 있는 건 아니다. 서씨는 “피켓 시위를 할 때, 관광객으로 보이는 한국 대학생들이 응원의 박수를 보내거나 음료수를 놓고 가시는 분들이 있다. 또한 사진을 찍어 SNS에 올리겠다고 말하는 분들이 있는데, 가슴이 뭉클하고 힘이 난다”며 감사를 전했다.

무엇보다 서씨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생각하면 죄송한 마음이 앞선다고 한다. 너무 늦게 관심을 갖게 됐고, 그분들의 아픔을 오랜 시간 함께 하지 못했다는 것이 그 이유다. 그는 “이제 살아계신 할머니들이 몇 분 남지 않았다”며 “(살아계실 때) 일본의 사과를 받을 수 있도록, 미약하지만 열심히 힘을 보탤 것이고, 그때까지 할머니들이 건강하게 살아 계시면 좋겠다”고 진심 어린 각오와 소망을 표했다.

많은 위안부 피해자가 가슴의 한을 풀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지난해 12월 5일과 14일에는 김순옥·이귀녀 할머니가 별세했다. 두 분의 할머니를 포함해 지난해에만 8명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가 세상을 떠났다. 현재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단 25명뿐이다.

글 문성호 기자 sungho@seoul.co.kr

영상 문성호, 김민지 기자 mingk@seoul.co.kr

서울EN연예 핫이슈

SNS에서도 언제나 '서울Tv'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네이버 채널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