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중국의 봉이 된 기업들/김성곤 논설위원

김성곤 기자
업데이트 2019-01-15 00:19
입력 2019-01-14 22:18
이미지 확대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글로벌 기업에게 중국은 계륵과 같은 존재다. 중국을 봉으로 알고 들어갔는데 어찌하다 보니 자신이 봉이 된 것을 깨닫고 ‘탈중국 행렬’에 가세한 기업이 한둘이 아니다. 2018년 기준 인구 14억 1000만명에 소비시장 규모만 4조 7000억 달러에 달하는 중국인데 어찌 이럴까.

중국이 1979년 중외합자경영기업법 이른바 중국합작법을 공포·시행한 이후 수많은 기업이 중국으로 몰려갔다. 한국도 마찬가지다. 현대차는 합작법인으로 베이징기차 등을 설립하고 중국 시장 공략에 나섰다. SK, 금호, 삼성, LG 등이 속속 합류했다. 그런데 지금 이들 기업이 중국에서 뛰쳐나오고 있는 것이다.

외신에 따르면 영화사 패러마운트 픽처스, 음악 채널 MTV, 어린이 채널 니켈로디언을 보유한 세계적인 미디어 기업 비아콤이 사업 확장에 어려움을 겪다가 최근 중국 철수를 논의하는 중이라고 한다. 중국의 규제 장벽에 한계를 느꼈다는 게 그 이유다. 한국도 이마트와 롯데마트, LG생활건강 등 유통 업체들이 출혈을 감수하고 매장을 철수했다. 삼성물산도 에잇세컨즈 중국 1호점의 문을 닫았다. 제조업은 이미 철수하기 시작한 지 오래됐다. 한국에 ‘U턴’ 기업을 위한 공단마저 조성되고 있는 판이다.

중국 투자는 쉽지만, 이윤을 가져오기는 쉽지 않다. 게다가 중국의 국민소득이 1만 달러로 올라서면서 임금이 올라 가격경쟁력 확보도 쉽지 않다. 환경과 노동 규제도 늘었다. 중국의 기술 수준이 향상되면서 기술적 우위를 잃은 중견기업도 많다. 자본을 투자해 합작기업을 설립한 기업들은 기술만 빼앗긴 경우도 없지 않다. 현대차 등 대기업들은 그래도 거대한 중국 시장을 버릴 수 없어 발만 담근 모양새다. 중국이 우대를 하는 것은 반도체 등 중간재지만, 기술에서 따라잡히면 팽당하는 것은 시간문제다.

철수도 쉽지 않다. 그동안의 초과근로나 대체 휴가, 연가 등 수당을 해결해야 한다. 이를 해결하지 못해 밤 봇짐을 싸 한국으로 빈털터리로 도망 온 기업인도 적지 않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국 압박에 기대를 걸기도 한다. 미국의 압력으로 중국이 변하면 기술만 쏙 빼먹는 중국의 관행이 사라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그러나 중국이 규제를 풀더라도 우리 기업에까지 혜택이 돌아올지는 미지수다. 들어가기는 쉽지만, 나오기는 쉽지 않은 게 중국이다. 20년 후가 될지 30년 후가 될지는 모르지만, 중국의 시대는 도래할 것이다. 그 시장을 놓칠 수는 없지만, 지금 같은 방식이어서는 안 된다. 더 늦기 전에 새로운 중국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연구할 때다.

sunggone@seoul.co.kr
2019-01-15 31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