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파라 해도 상관없어요 그만큼 아픈 시대였으니”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업데이트 2019-01-02 09:33
입력 2019-01-01 22:58

영화 ‘말모이’ 엄유나 감독

처음부터 주인공 유해진 정해놓고 각본 써
최초 국어사전 만드는 이들 13년간의 노력
실제 사건 모티브… 자연스럽게 눈물 나죠
슬프지 않다면 오히려 이상하지 않을까요
이미지 확대
오는 9일 개봉하는 영화 ‘말모이’ 엄유나 감독. 엄 감독은 영화에 관해 “일제강점기에 국어사전을 만들기 위한 이들의 고군분투를 다룬다”면서 “관객들이 영화를 보며 온기를 느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일제강점기, 그 서슬 퍼런 시대에 수많은 보통 사람들이 국어사전을 만드는 데에 함께했습니다. 그 사람들 마음이 어땠을까, 하는 고민을 하며 영화를 만들었습니다.”

오는 9일 개봉하는 ‘말모이’는 ‘택시운전사’ 각본을 쓴 엄유나(40) 감독 첫 영화다. ‘말모이’는 주시경 선생이 1911년 시작했지만, 미완성으로 남은 최초의 국어사전 원고를 가리킨다. 1945년 9월 8일 경성역 조선통운 창고에서 2만 6500여쪽의 원고가 발견됐는데, 영화는 이전 13년 동안 조선어학회 사람들의 노력을 재구성했다.

“2년 전 EBS의 ‘지식채널e’에서 본 5분 분량 영상을 보고 영화로 만들고 싶었다”는 엄 감독은 이후 관련 서적은 물론, 한글학회(구 조선어학회) 자료를 모두 읽고 직접 학회를 찾아 자문해 가며 각본을 썼다. 당시 조선어학회가 말을 모으려고 잡지에 광고를 내고, 전국에서 수많은 답장을 받은 일 등 역사적 사실에 인물과 이야기의 살을 붙였다.

엄 감독이 각본에 이어 메가폰까지 잡은 영화는 까막눈인 ‘김판수’가 조선어학회에서 일하며 겪는 일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특히 주인공 판수 역을 맡은 배우 유해진은 영화를 살아 있게 만든다. 낫 놓고 기역도 모르던 그는 사전 제작을 도우며 점차 바뀌어 간다. 능청스러운 연기부터 눈물 쏙 빼는 연기까지, 영화를 보다 보면 유해진이 아닌 다른 배우를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다.

“유해진씨를 주인공으로 정해 놓고 각본을 썼어요. 배우를 정해 놓으니 각본 쓰기가 수월했을 정도였죠. 주인공 판수는 성장하는 인물이자, 변화의 폭도 큰 인물입니다. 배우 유해진의 힘을 믿었고, 그 결과 역시 만족할 만큼 나왔습니다.”

판수의 상대역으로는 영화 ‘범죄도시’에서 ‘장첸’으로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 준 윤계상이 조선어학회 대표 ‘류정환’을 맡아 열연한다. 앞선 모습과 달리, 그는 영화에서 진중한 지식인으로 등장한다.

“현장에서 윤계상씨에게 ‘실제 본인 모습대로만 해 달라’고 주문했어요. 계상씨는 실제로 선하고 예의 바르고, 끈기 있는 사람입니다. 굳이 센 역할이 아니더라도 자연스럽고 일상적인 연기도 아주 좋았습니다. 촬영 끝나고서도 ‘류 대표님’ 하고 부르고 있어요.(웃음)”

2명의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조선어학회 사람들, 판수의 가족들과 동료들이 영화에서 한데 어우러진다. 초반 웃음 가득한 장면이 이어지다 일제의 탄압이 점점 심해지며 막판에 눈물, 콧물을 쏙 빼놓는다. 앞서 택시운전사 때도 그랬듯 “너무 신파적이다”라는 지적이 나올 수도 있다. 엄 감독은 “신파라고 해도 크게 상관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일제강점기의 실제 사건을 소재로 했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흐름이고 자연스러운 결말이라 생각합니다. 정말 아픈 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이니 만큼, 오히려 울지 않는 게 더 이상하지 않을까 생각도 합니다.”

격렬한 액션 없이, 화려한 컴퓨터그래픽 없이 오로지 담백한 이야기만으로 관객에게 통할 수 있을까. 엄 감독은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다. 이들의 온기가 그대로 관객들에게 전달될 것”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01-02 29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