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트럼프와 트루먼/김상연 정치부장

김상연 기자
김상연 기자
업데이트 2018-10-11 22:30
입력 2018-10-11 20:44
주관식 문제부터 풀어 보자. 아래 글에서 ‘나’는 누구일까.
이미지 확대
김상연 부국장 겸 정치부장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나는 빅터가 코모도어호텔에 관해 얘기했던 1974년의 어느 날 그곳을 찾으려고 이리저리 돌아다녔던 일을 기억한다. 그 호텔의 벽면은 매우 불결했고 로비는 우중충했다. 대단히 실망스러웠다. 그런데 호텔 주변에서 뭔가가 내 눈을 사로잡았다. 그때가 아침 9시쯤이었는데 말쑥한 차림의 통근자 수천여명이 터미널과 지하철역에서 쏟아져 나오고 있었다. 내가 코모도어호텔을 개조할 수만 있다면 히트칠 게 틀림없었다. 나는 빅터에게 코모도어 매입에 흥미가 있다고 말했다.”

정답은 ‘도널드 트럼프’다.

다음은 객관식 문제. 보기 중 트럼프가 좋아하지 않는 것은?

1. 술 2. 담배 3. 도박 4. 파티

정답은 1, 2, 3, 4 전부다.

혹시 정답이 의외라고 느껴졌다면 당신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72세의 나이에 1시간 넘게 서서 자료도 보지 않은 채 복잡한 수치를 나열해 가며 기자회견을 해내는 트럼프의 건강은 거저 얻어진 게 아니다(객관식 정답 해설). 매사 기분에 따라 즉흥적으로 결정을 내릴 것 같지만, 트럼프는 직접 발품을 팔고 꼼꼼히 따진 뒤 투자하는 스타일로 많은 돈을 벌었다(주관식 정답 해설).

트럼프는 ‘온실 속 금수저’ 출신 같지만, 주택임대업을 하는 아버지를 둔 덕에 젊은 시절부터 목숨 걸고 일하는 법을 배운다. 그의 자서전 ‘거래의 기술’에는 이런 대목이 나온다. “임대료를 받으러 다니면서 제일 먼저 배운 요령은 노크할 때 대문 앞에 서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 벽쪽에 서서 손을 뻗어 노크해야 했다. 총탄 세례를 받을지 모른다는 이유에서였다.”

보통 사람은 일말의 의문이 들면서도 관성적으로 순종하는 기성 질서에 트럼프는 고분고분하지 않다. 이런 식이다. “나는 많은 현대미술이 사기라고 느껴 왔다.”, “아무에게든 직접 물어서 얻는 결론이 늘 자문회사의 조사 결과보다 유용했다.”, “비평가들을 신통하게 보지 않는다. 그들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기 위해 뭔가를 끄적거릴 뿐이다.”

이러니 기성 질서가 그를 좋아할 리 없다. 초등학생 때 음악 선생님한테 주먹을 휘두를 정도로 지기 싫어하는 그는 지금 워싱턴 기성 질서의 한 축인 언론과 싸우고 있다. 그리고 공개 석상에서 트럼프에게 면박당한 기자들의 기사엔 감정이 실린다. 미국 언론에 보도되는 ‘트럼프의 막말’, ‘트럼프의 기행(奇行)’ 류 기사 중 상당수는 앞뒤가 잘린 채 뒤틀린 것이다. 발언 전문을 들어 보고 앞뒤 맥락을 따져 보면 진실을 알 수 있다. 그는 코스모폴리탄적인 인간은 아니지만, 다다이스트도 아니다.

트럼프가 뭘하든 미국 사람끼리만 지지고 볶는다면 신경쓸 필요가 없다. 문제는 그가 우리의 운명을 좌우할 미국 대통령이라는 것이다. 한국인에게 지금 트럼프의 중요도는 클린턴, 부시, 오바마의 수준을 넘어선다. 차라리 남북 분단과 한국전쟁 등을 좌우한 루스벨트나 트루먼에 비견될 만하다. 종전선언, 평화체제 등이 그의 집무실 책상 위에 올라 있기 때문이다.

이런 그를 기인(奇人)이나 괴짜 취급하며 조롱하는 것은 온당치 않을 뿐 아니라 우리한테 유리하지도 않다. 그럴 시간에 그의 과거를 공부하고 그의 현재를 곱씹어 이익을 얻어 내는 게 현명하다.

70여년 전 트루먼이 38선을 긋고 애치슨 라인을 선포할 때 우리는 아무런 힘이 없었다. 다행히 지금 우리는 그때보다 훨씬 큰 힘을 갖고 있다.

carlos@seoul.co.kr
2018-10-12 30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