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인 가구에 AI… 서울을 콤팩트 스마트시티로”

수정: 2018.09.18 23:05

김세용 SH공사 사장

“스마트시티는 주민 삶과 직결돼야 한다. 기술이 아니라 주민 삶을 윤택하게 하는 사람 중심 스마트시티가 구현돼야 한다. 강서구 마곡지구에 생활밀착형 스마트시티를 조성하면서 우리 상황에 맞는 스마트시티 정의를 정립하려 한다.”

확대보기

▲ 김세용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사장

김세용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사장의 스마트시티 지론이다. 김 사장은 18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실생활과 동떨어져 삶 속에서 체감하기 어려운 첨단기술집약적인 스마트시티보단 주민 참여를 통해 주민들을 위한 스마트시티를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요즘 스마트시티가 화두다. 스마트시티란 뭔가.

-스마트시티 개념은 전 세계적으로 200개 이상 된다. 개념 정립이 안 돼 있다. 나라마다 도시마다 다 다르다. 하지만 핵심은 같다. 첨단 정보기술(IT)을 도시에 접목, 사람들이 살기에 편안한 도시를 만들어 보자는 거다.

→SH공사에서 추구하려는 스마트시티 방향은.

-생활밀착형 스마트시티다. 일반인들 입장에서 도시생활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걸 파악해 만들어 주려 한다. 몇 년간 행정안전부·국토교통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스마트시티 경진대회’ 심사위원을 했다. 심사위원을 하며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스마트시티와 일반인이 원하는 스마트시티가 너무 다르다는 걸 알게 됐다. 일례로 한 여성이 주차 때 활용 가능한 ‘큐알(QR)코드’를 제안했다. 주차장이나 길에 주차할 때 자동차에 휴대전화 번호를 남겨 놓는데, 그 번호를 저장해뒀다 귀찮게 하는 경우가 생긴다. 자동차에 QR코드를 붙여 놓고, QR코드를 찍으면 카카오톡처럼 대화방이 생겨 이야기를 할 수 있다. 여성들 전화번호는 절대 노출이 안 된다. 여성들에게 정말 필요한 기술이다. 일반인들은 이처럼 스마트시티에 실생활에 직접 도움이 되는 걸 구축해 주길 바란다. 이런 기술은 고난위도도 아니고, 일반에 공급했을 때 혜택이 굉장히 많이 돌아가는 따뜻한 기술이다. 반면 전문가들은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자율주행차, 5G 운용 등 비용도 많이 투입되고, 시간도 오래 걸리는 걸 제안한다.

→서울은 어떤 모습으로 발전돼야 하나.

-고도화된 ‘콤팩트 스마트시티’로 가야 한다. SH공사가 공공디벨로퍼로서 선봉에 서서 콤팩트 스마트시티 구축을 이끌어가야 한다. 그만한 잠재력은 충분히 갖췄다. 서울은 싱가포르와 면적은 거의 같지만 인구는 두 배 이상 많다. 서울의 산 면적을 제외하면 실제 가용면적은 싱가포르가 더 넓다. 그만큼 콤팩트한 곳에 살고 있다. 콤팩트한 곳이 나쁜 것만은 아니다. 도시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등 장점도 많다. IT를 활용, 인구 1000만 도시를 콤팩트 스마트시티로 만들 수 있는 곳은 서울이 세계에서 유일할 것 같다.

→콤팩트 스마트시티를 어떻게 구현할 건가.

-1·2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하고 콤팩트한 주택에 집중하려 한다. 보통 청년들을 위한 1인 가구는 23㎡(약 7평) 정도 된다. 너무 좁다. 여기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해 좁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냉장고에 AI를 도입해 근처 마트와 택배 회사와 연계했다고 생각해 보자. 냉장고가 사용자의 음식 패턴을 분석한 뒤 음식이 떨어질 때쯤 근처 마트에 자동 주문을 하고, 택배회사에서 배달한다. 냉장고가 그때그때 필요한 만큼 주문을 하기 때문에 냉장고 크기가 클 필요가 없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서울EN연예 핫이슈

SNS에서도 언제나 '서울Pn'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네이버 채널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