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영화] ‘산책하는 침략자’

업데이트 2018-08-15 00:54
입력 2018-08-14 17:40

외계인이 지구를 침략하지 못하는 이유… 사랑 때문?

이미지 확대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제목 ‘산책하는 침략자’는 외계인을 가리킨다. 그들(영화에는 외계인이 세 명 나온다)은 인간의 육체를 빼앗아 이곳저곳을 돌아다닌다. 목적은 개념을 수집하는 것. 예를 들어 ‘일’(work)이 무슨 뜻인지 외계인이 알고 싶다고 치자. 먼저 그들은 ‘일’의 개념을 알 만한 사람을 찾는다. 그리고 그 사람에게 ‘일’의 개념을 머릿속으로 이미지화해 달라고 부탁한다. 이윽고 외계인이 말한다. “그거 내가 받을게.” ‘일’의 개념을 떠올린 그 사람 이마에 그들이 집게손가락을 갖다 댄다. 자, ‘일’의 개념은 외계인으로 옮겨왔다. 이제 그 사람에게 ‘일’의 개념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들은 왜 개념을 모으는 것일까. 외계인의 목표는 그들이 밝힌 대로 ‘지구 침략’인데 말이다. 어차피 인류를 멸망시킬 작정이라면, 개념을 채집할 필요 없이 바로 쳐들어오면 되지 않나. 그런데 그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척후대로 온 세 명의 외계인은 인간이 가진 개념의 크기와 질로 지구 침략 여부를 결정하려는 것 같다. 이것은 작품 해석의 중요한 키워드다. 왜냐하면 과학 기술이 아닌, 구체화된 개념이야말로 어떤 문명의 진정한 유산이라는 인식이 깔려 있기 때문이다. 개념이라는 보편적 관념은 그냥 만들어지지 않는다. 오랜 시간에 걸쳐 대중에 의해 형성된다. 이런 의미에서 개념은 어떤 문명의 수준을 판가름하는 척도라 할 만하다.

이쯤에서 한 가지 질문을 해 볼 법하다. ‘인류가 생산한 다양한 개념 중에서 외계인에게 특별하게 다가오는 것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가령 신지(마쓰다 류헤이)의 몸을 빌린 외계인은 어떨까. 그는 ‘가족’ ‘~의’(소유격조사) 등의 개념을 탈취한다. 그렇지만 그런 개념들이 외계인을 깜짝 놀라게 하지는 않는다. 이성적 능력만 고도로 발달한 생명체라서 그렇다. 그는 개념을 이해할 뿐 감응하지는 못한다. 그렇다고 할 때, 이 같은 외계인이 수긍할 수 없는 불가사의한 개념이 뭐일지 당신도 슬슬 눈치 챘을 것이다. 맞다. 우리가 다 아는 그것, 알지만 말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사랑’이다.
이미지 확대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구로사와 기요시 감독은 외계인의 지구 침략을 테마로 한 이 영화가 실은 “신지와 나루미(나가사와 마사미) 부부의 러브 스토리에 가깝다”고 코멘트한다. 그 말대로다. 이 작품은 온갖 위협에도 불구하고 끝내 정복당하지 않는 사랑의 위대함을 역설한다. 외계인에게도 사랑은 인류 문명이 발명한 최고 단계의 개념으로 여겨진다. 느끼지 않으면 납득 자체가 불가능해서다. 알다시피 사랑은 논리적 분석의 대상이 아니다.

만약 외계인이 사랑을 온전히 받아들인다면, 그는 이전과는 완전히 달라진 개체가 될 것이다. 없던 감성이 충만해질 테니까. 그럼 지구 침략도 분명 재고하게 되리라. 외계인의 감각을 재배치하는 사랑은 어벤져스보다 강한 개념의 지구방위대다.

허희 문학평론가·영화칼럼니스트

2018-08-15 24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