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북·미, 장외 신경전 멈추고 고위급 대화하라

업데이트 2018-08-09 22:48
입력 2018-08-09 22:44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평양을 방문한 이후 북·미가 비핵화 교섭을 위해 테이블에 마주 앉지 못한 지가 벌써 한 달을 넘기고 있다. 이렇게 가다가는 양측의 교착 상태가 장기화할 조짐마저 보인다. 빠른 속도로 비핵화를 달성해 한반도 평화를 이룬다는 남북, 북·미 정상회담의 정신이 최근 북·미의 장외 신경전으로 빛바래는 듯해 안타깝다. 그나마 북측의 요청으로 남북 정상회담 개최 등을 준비하는 남북 고위급회담이 13일 열린다는 것이 희소식이다.

콜롬비아를 방문 중인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대사는 8일(현지시간) “국제사회가 여전히 비핵화를 기대한다”면서 “(북한이) 기다리라고 하면 기꺼이 기다리겠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너무 오랫동안 기다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헤일리 대사는 “이 모든 것은 북한 측 코트에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비핵화 인내심이 그리 많지 않으며, 북·미 교착의 책임이 북한에 있다는 인식을 보인 것이다. 대북 강경파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방송에 나와 연일 비핵화 실행을 촉구하는 것과 맥이 닿는 발언이다.

앞서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미국의 제재가 재개된 이란을 방문해 하산 로하니 대통령을 만났다. 리 외무상은 제재의 부당성을 지적했고, 로하니 대통령은 “미국은 믿을 수 없다”고 응수했다. 마치 미국이 보란 듯한 행보다. 노동신문은 어제 논평에서 “종전선언 발표로 군사 대치 상태가 끝나면 신뢰 조성 분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미국의 종전선언을 공식적으로 촉구했다. 이런 북한에 미국은 종전선언 등 평화체제 논의는 비핵화 뒤에 가능하다며 맞선다. 소모적 공방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친서에 대한 답신에서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방북을 제안했다. 북·미 교착의 장기화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파국을 막고 불확실한 상황을 타개하려면 고위급이 만날 수밖에 없다. 김 위원장은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제의를 받아들이고, 트럼프 대통령도 진전된 체제보장 조치를 제시해 교섭을 재개해야 한다. 그 과정에 13일 남북 고위급회담이 역할을 하길 바란다.

2018-08-10 31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