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진진 견문기] ‘타임머신 백송’에 역사 묻고… 선각자 정세권 그리며 숙연

업데이트 2018-06-06 23:56
입력 2018-06-06 22:38
발걸음이 처음 닿은 곳은 헌법재판소였다. 현대식 석조 건물을 올려다보며 어떤 역사적 발자취를 볼 수 있을까 궁금증을 품고 건물을 끼고 돌아가니 작은 정원과 건물 사이로 백송 한 그루가 나왔다. 긴 세월 동안 한자리를 지키며 당당히 서 있는 아름드리 백송에게 역사를 물었다. 그 파란만장한 근현대사의 현장을 이 노송이 지켜봤다고 생각하니 나무가 타임머신처럼 느껴졌다. 제중원 시절 신분고하를 가리지 않고 전국에서 몰려온 환자들을 받았다고 한다. 겉모양만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백송의 넉넉함이 더욱 아름다웠다.
이미지 확대
김윤정 책마루독서교육연구회 연구원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북촌 한옥마을로 들어섰다. 근대식 한옥마을이 들어서게 된 역사적 배경을 듣자니 시대의 흐름을 읽을 줄 아는 정세권 선생 같은 선각자의 존재가 얼마나 중요한지 새기게 됐다. 한옥을 지어 놓고 가족과 함께 옮겨 다니며 살아 보고 불편한 점을 실용적으로 개선해 나갔다는 얘기에서 진정성을 느꼈다. 백인제 가옥을 둘러보게 됐는데 의외로 많은 외국인들이 관람하고 있었다. 고즈넉하고 정갈한 한옥의 정취를 외국인이 더 좋아하나 보다.

가회동 31번지 비탈길을 따라 올라가 내려다보니 남산타워까지 보였다. 전경을 자랑할 만한 곳이다. 인왕산을 따라 내려오면서 조선어학회 터를 지났다. 국어사전의 토대가 되는 조선어사전을 만들었던 중요한 건물이었다는데 지금은 표석으로만 남아 있다. 앞쪽 열린 길가에 자리 잡은 안동교회는 선교사의 개입 없이 우리 손으로 근대식으로 지은 건물이라 했다. 남녀 구분 없이 앉도록 한 좌석부터 외관까지 상당히 파격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100년을 훌쩍 넘긴 세월을 감싼 담쟁이넝쿨이 붉은 벽과 대조를 이뤄 눈길을 끌었다. 또 담장을 따라 붉은 장미 넝쿨이 이어졌다. 6월의 장미와 오늘의 더위는 왠지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화창한 날씨에 점수를 주기로 했다.

낙원악기상가 옆에 정세권 선생이 지은 조선물산장려회관 옛터가 있었다. 선생이 없었더라면 오늘의 북촌이 남아 있을까 하는 생각에 숙연한 마음이 들었다. 나를 돌아보고 반성하는 시간이었다.

김윤정 (책마루독서교육연구회 연구원)

2018-06-07 18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