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석 틈 속에 스며든 숨결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업데이트 2018-05-16 17:38
입력 2018-05-16 17:34

박은선 10년 만에 고국서 ‘숨 쉬는 돌의 시간’展

사반세기 동안 돌에 숨통을 내 온 조각가가 ‘숨 쉬는 돌의 시간’을 반추한다. 이탈리아에서 살며 유럽을 주무대로 활동해 온 박은선(53) 작가가 10년 만에 고국에 신작을 펼쳐 놓았다. 다음달 30일까지 서울 성동구 더페이지갤러리에서 열리는 개인전 ‘숨 쉬는 돌의 시간’에서다. 이번 전시는 작가가 그간 유럽에서 ‘동양적 추상 조각’이라는 평을 받으며 일궈 온 작품 세계를 조망할 수 있는 자리다.
이미지 확대
높이 5m의 천장에 매달린 ‘무한기둥’ 사이를 관람객들이 거닐고 있다.
더페이지갤러리 제공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25년간 이탈리아 등 유럽 활동… ‘동양적 추상 조각’ 평

전시장을 들어서면 땅 대신 천정에서 뿌리내린 거대한 대리석 기둥 석 점이 시선을 모은다. 길이 4.1~4.7m, 한 점의 무게만 1.2t에 이르는 기둥들은 중력을 거스른 듯한 설치에 표면에 난 균열들로 여백의 공간에 새로운 상상력을 불어 넣는다. 전시장에 자리한 20여점의 작품들은 모두 매끈한 표면에 의도적으로 낸 균열들을 품고 있다. 이는 박 작가 고유의 작업 방식으로 작가 자신은 이를 ‘살아서 숨 쉬는 숨통’이라 일컫는다.
이미지 확대
이탈리아에서 거주하며 활동하는 박은선 작가.
더페이지갤러리 제공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
25년간 대리석이라는 질료에 매달려 온 그는 재료를 쪼거나 깨 형상을 빚는 일반적인 방식과 달리 대리석을 부순 뒤 다시 조립해 작품을 완성한다. 색이 다른 두 개의 대리석 판을 한 겹씩 쌓아올리며 조각의 형태를 원형이나 사각형, 원반 등으로 마름질하는 그의 작업 방식은 나무를 접붙이듯 새로운 화음과 역동성을 만들어 낸다. 특히 대리석의 표면을 의도적으로 깨뜨려 만드는 ‘균열’은 “불규칙하게 파열된 틈으로 인간의 숨결과 생동감을 불어넣는다”(류병학 평론가), “무한을 향해 솟아오르는 성장이라는 가능성 사이에서 취약함을 드러냄으로써 생의 진리를 드러낸다”(이탈리아 평론가 루치아노 카라멜)는 평을 받는다.

●대리석 부순 뒤 다시 조립해 완성… 새 화음·역동성 만들어

222개의 대리석 구를 모아 지름 2m가량의 대형 구를 완성한 ‘Sfere’는 만지면 서로 부딪히며 소리를 내며 재료에 대한 선입견을 지운다.

경희대에서 조소를 공부한 박은선은 1993년 이탈리아로 유학길에 올랐다. 이후 세계적인 대리석 산지이자 미켈란젤로와 도나텔로 등 거장들이 작업 터로 삼은 것으로 유명한 토스카나주의 소도시 피에트라산타에 정착해 작업 활동을 펴 왔다. 그의 작품들은 이탈리아, 독일, 스위스, 프랑스 등 유럽 곳곳의 명소에 설치됐다. 요즘도 매일 마스크와 귀마개부터 쓰고 작업에 매진한다는 그는 “이탈리아에서 25년간 활동하며 낭떠러지에 몰린 듯한 순간도 많았지만 위기를 넘기며 작품을 완성해 나갔다”며 “내 작업은 곧 나의 삶”이라고 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8-05-17 23면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0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